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3

상승 / 강하 지정고도 1000ft 전까지 최적 상승 또는 강하율로 비행그 다음은 지정고도 도달할 때까지 500 ~ 1500fpm으로 상승 / 강하→ 원하는 고도 1,000ft 전방에서 500 ~ 1,000FPM으로 Half Rate VVI 10% Lead Point, Level Off 조작- Final 접근시 강하율 : 3° = GND SPD / 2 × 10 FPM- 선회→ 표준율 선회 = 2 NDL Turn = 3°/sec (360° 선회시 2분 소요) Bank량 = TAS/10 + 7°→ 반 표준율 선회 = 1NDL Turn = 1.5°/sec (360° 선회시 4분 소요) Bank량 = TAS/20 + 7°- 60NM 기준 1° = 1NM 2017. 7. 21.
PBN (Performance Based Navigation, 성능기반항행) 계기접근절차 또는 지정된 공역, 항로를 운항하는 항공기가 갖추어야 하는 성능 요건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항법PBN은 RNAV와 RNP로 구성되어 있습니다.Infrastructure라 함은 PBN 설계를 위한 기준이 되는 항행시설로 VOR, DME, 그리고 GNSS 이 세가지 항법시설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Navigation Specifications은 PBN의 세부 기준 정도로 이해를 하시면 될듯하며, Navigation Application은 다양한 PBN Specification들이 비행의 어느 특정 구간에 사용되는지를 말해주는 것입니다. 2017. 7. 21.
RNP (Required Navigation Performance) 정해진 공역 또는 항로운항에 필요한 항행성능의 정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총 비행시간의 95% 동안 RNP 형식에 명시된 오차의 범위 내에서 운항하여야 함을 의미하며, RNP-10 공역 운항시는 총 비행시간의 95%동안 항로 좌우측 10NM의 범위 내에서 운항하여야 한다.(비행계획서 item 10에 R 표시)RNP requires onboard navigation performance monitoring and Alerting and RNAV does not require.정리해보면, RNP는 항공기 항법 성능을 Monitoring and Alerting하는 기능이 요구되는 RNAV 운항이고, RNAV는 ATC 레이더 통달 범위 안에 설계되기 때문에 위의 기능을 요구하지 않은 지역항법이다 라고 이해하시면 .. 2017. 7. 21.
RVSM (Reduced Vertical Separation Minimum) 1. 개념평균해면 29,000ft 이상 41,000ft 이하의 공역에서 항공기 간에 유지해야 하는 수직분리 거리를 현행 2,000ft에서 1,000ft로 단축하여 기존 항로사이에 신규 항로를 추가2. 장점RVSM을 통해서 비행가능한 고도가 추가됨에 따라 경제적인 운항을 함으로써 늘어나는 교통량을 소화해 냄은 물론 연료비 절감 및 시간 단축이 가능하여 항공산업의 발전을 꾀할 수 있음3. RVSM 중지를 위한 절차ATC는 Moderate Turbulence보다 큰 것이 보고되면 FIR내에서 RVSM 절차의 중지를 고려할 것임 (RVSM 절차가 중지된 지역에서 모든 항공기간의 수직분리 최저치는 2,000ft가 됨) RVSM이라 함은 Reduced Vertical Separation Minimum의 약어로서, .. 2017. 7. 21.
ATIS (Automatic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외 1. ATIS : 특정시간동안 연속적으로 되풀이하는 방송을 통해 입,출항하는 항공기에게 일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⓵ 특히, 공중 교통량이 많은 공항에서 일반적이고 필수적인 정보를 반복해서 방송함으로써 조종사에게 사전에 필수정보를 전파함으로써 관제사의 업무효율을 증진시키고, 주파수 혼 잡을 감소시키기 위함⓶ ATIS 수신 범위 : 최대 60NM, 최대고도 25,000ft AGL까지 수신⓷ ATIS에 포함된 정보시간, 운고, 시정, 시정장애물, 온도/노점, 풍향 (자방위)/풍속, 기압수정치, 사용 Runway, 계기접근 절차, NOTAM 등 포함 - 시정 또는 하늘상태/운고 생략 : 시정 5마일 이상, 실링 5000FT이상⓸ ATIS 수신시 “ I have received information 'A'"cf.. 2017. 7. 21.
ETOPS (Extended range with Twin engine aircraft OPerationS) 1. 정의⓵ Two Engine 경우 비정상 상황 발생시 가까운 비행장으로 돌아온다는 개념으로 행동반경을 넓힘.⓶ 해당 기종의 ETP 지점 원을 연결하여 비행 실시⓷ 장거리 비행을 안전하게 수행한다는 신뢰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2. 세부내용⓵ 1985년 미국 FAA에서 제정한 규정으로 쌍발항공기가 운항 중 두개의 엔진 가운데 하나가 꺼지는 경우 회항 또는 대체공항에 안전하게 착륙하기까지 운항을 지속할 수 있는 시간규정⓶ 현재 미국은 자국 영토에 취항중인 항공사 중 몇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항공사에 최대 180 분을 허용하고 있음⓷ 180분의 의미 : 한 개의 엔진만으로도 대체공항까지 순항할 수 있는 최대시간3. 조건⓵ 해당항공사의 기체 및 엔진 신뢰성이 높을 것 (엔진작동 5만 시간당 1회 이하의 결함).. 2017. 7. 21.
항법 구분 1. Class I Navigation vs Class II NavigationClass I 항법이란 ICAO 표준 지상 항행안전시설 (VOR, VOR/DME, NDB)의 서비스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항법을 말합니다. Remote한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상에는 항행안전시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상 비행은 Class I 항법에 해당 됩니다.Class II 항법이란 ICAO 표준 지상 항행안전시설의 서비스 범위 밖에서 이루어지는 항법으로 장거리 항법 장비 (Long Range Navigation System) 가 요구됩니다. 보통 지상 항행안전시설이 미치지 못하는 대양이나 내륙 Remote 한 지역에서의 비행이 Class II 항법에 속합니다.2. Conventional Navigation.. 2017. 7. 21.
항법의 종류 항법의 4대 요소 : 위치, 방위, 거리, 시간 (위방거시)항법의 3가지 기능 : 위치 확인, 침로 결정, ETA (도착예정시간) 산출 (위침E)항법“[명사] 배나 비행기 따위가 두 지점 사이를 가장 안전하고 정확하게 이동하는 방법. 또는 그런 기술”1. 지문항법 (Pilotage)시계비행 상태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는 지상 목표물을 이용한 VFR 항법2. 추측항법 (Dead Reckoning)- 모든 항법의 기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차 누적 ← 바람 요인)- 해상, 운상, 현저한 참조점이 없는 지역, 야간 또는 시정이 불량할 때 사용 - 속도계, 고도계, 자기나침반 등의 기본적인 계기를 이용해 예상되는 경로를 추측하면서 비행3. 전자항법 (Electric Nav)⓵ 무선항법 (Radio Nav)- 무선.. 2017. 7. 21.
TEC (TWR En-Route Control / 관제탑 항로 관제) 1. Terminal Area 사이의 짧은 저고도 항로 비행시에 허용 - 일반적으로 10,000‘이하에서 운항하는 비터보제트 항공기에 적용 (2시간 이내) - 다수의 공항지역, 단거리 비행시 사용 - 대도시 지역에서 입/출항 하는 A/C에게 업무 제공2. 한 공항의 출항 관제소부터 접근관제소로 이관3. FLT PLAN의 Remark란에 약어 “TEC” 기입 2017. 7. 21.
속도 조절 : 항공교통관제절차 제7절 나. 다음 항공기에게는 속도 조절을 지시하여서는 안 된다. 1) FL390 이상의 고도에서 조종사 동의가 없는 경우 2) 발간된 고고도 계기접근절차를 수행중인 항공기 3) 체공장주에 있는 항공기 4) 최종접근 진로상의 최종 접근픽스 또는 활주로로부터 5마일되는 지점 중 활주로로부터 가까운 지점에 있는 항공기 라. 접근허가는 앞서 발부한 모든 속도조절 지시의 취소를 의미 한다. 속도조절을 다시 언급하지 않는 경우, 조종사는 비행절차에 필요한 속도조절을 한다. 마. 10 노트(KTS) 단위의 지시대기속도(IAS)를 발부하여야 한다. FL240 이상에서 마하 속도(Mach Meter : 예를 든다면 0.69, 0.70, 0.71 등)로 비행하는 터보 제트항공기에 대하여는 마하 0.01 간격으로 지시할 수 있다.. 2017. 7. 21.
항로비행관련 1. 항로 내에서의 선회⓵ FLY-BY Waypoint : 다음 비행구간에서 Overshoot를 방지하기 위해 예상하여 선회 (Lead P'T를 잡고 선회)※ Turn Anticipation : A/C를 지정된 항로나 경로 경계선 안에 있도록 하기 위해 실제의 공역 Fix나 선회지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시작하는 선회기동⓶ FLY-OVER Waypoint : Waypoint 상공까지는 어떠한 선회도 할 수 없고, 그 상공을 지난 후 다음 비행구간으로 진입 실시2. 항법시설 상공 통과⓵ VOR 상공 : ‘TO/FROM' Indicator가 처음 완전히 바뀌었을 때의 시간⓶ ADF 상공 : ADF 지시침이 완전히 반대로 지시했을 때의 시간⓷ Marker 상공 : 맨 처음 받은 신호 ~ 신호 끝났을 때 시간의 평.. 2017. 7. 21.
COP (Change Over Point) 1. 개념VOR로 구성된 ATS 경로로 비행하는 항공기가 후방의 시설로부터 전방의 시설로 기본 항행목표를 전환해야 하는 지점 (주파수 변경 등)2. 항로비행시 대부분 항로 중앙지점에서 주파수를 변경하나 특별히 COP가 명시된 경우는 해 당지점에서 실시함 (명시되지 않은 경우는 항로중앙에서 실시)3. 목적⓵ 항법신호의 수신 보장하고,⓶ 다른 VOR Station과의 간섭을 방지하며,⓷ 동일지역에서 비행하는 모든 항공기들이 동일한 VOR을 사용함으로써 안전분리를 돕는다. 2017. 7. 21.
IFR 고도 1. MIA (Minimum IFR Altitude) : IFR 운영을 위한 최저고도⓵ 산악지역에서 비행경로로부터 4NM내의 최고 장애물 + 2,000ft⓶ 비산악지역에서 비행경로로부터 4NM내의 최고 장애물 + 1,000ft⓷ 정부기관에 의해 다른 방법으로 허가되거나 ATC에 의해 지정된 대로2. MEA (Minimum En-Route IFR Altitude) : 최저항로고도⓵ Cross Country 시 비행할 수 있는 최저고도⓶ 장애물 Clearance를 보장하고 무선항법시설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발간된 최저고도⓷ Two-Way Communication을 유지할 수 있는 고도⓸ 항로 좌우 4NM내의 최고 장애물 +1,000ft (산악지역 2,000ft) - ICAO ANNEX 11 VOR 항로 .. 2017. 7. 21.
Transition Level / Altitude / Layer 1. Transition Level (QNE)Transition Altitude 위에서 이용 가능한 가장 낮은 Flight Level2. Transition Altitude(QNH)항공기 고도가 MSL 고도를 기준하여 관제되는 공항주변에서의 고도3. Transition Layer• Transition Altitude 와 Level 사이의 공역• Transition Layer를 통해 강하시는 QNH (국지 Station Pressure) Set하고 상승시 QNE (29.92inhg /1013.2hpa) Set 한다.※ 미국 (FL 180), 한국 (FL 140) → 공항이나 항로에서 비행방식 전환시 안전 Factor4. Transiton Height (QFE)공항 주위에서 A/C 수직 위치가 공항의 기준점.. 2017. 7. 21.
Noise Abatement Departure Procedure(NADP) 소음경감절차는 착륙중에 역추력 (Reverse Thrust)의 사용금지내용은 포함하지 않는다. (제한없이 사용 가능함)1. 항공법 시행규칙 제175조 : 특별한 절차없는 한 450m (1500')까지 신속히 상승2. NADP 1 : 비행장 가까운 지역의 소음완화개념- 규정된 최소고도 및 그 이상에서 Power를 감소시키고, 규정된 최고고도에 도달할 때까지 Flap/Slat Retraction을 지연하는 절차임- 규정된 최고고도에서 양의 상승률을 유지하면서 예정대로 Flap/Slat을 Retract하고 가속하 면서 정상항로 상승속도로 전환⓵ T/O ~ 800ft : T/O Thrust & Flap, V2 + 10 ~ 20kts⓶ 800ft : Reduce to Climb Thrust⓷ 800 ~ 3000f.. 2017. 7. 21.
Climb Requirements (One Engine Inoperative Conditions) 1. First Segment제1단계는 항공기가 부양해서 착륙장치인 Landing Gear의 Retraction을 완료할 시점까지이며, 속도는 VLOF에서 V2까지 가속한다.이 단계에서 최소 상승구배는 2발 엔진의 경우는 양의 값 (Positive)만 가지면 된다.2. Second Segment제2단계는 착륙장치의 Retraction 완료부터 최저 400 피트 이상의 고도에 달하기까지 상승하는 단계로 속도는 V2에 가까운 정속 상승임이 단계에서의 요구하는 상승구배에 의해 이륙중량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음(대부분의 상승성능 제한은 제2단계의 상승구배 충족에 원인이 있음) 3. Third Segment제3단계는 Flap을 접기 시작하여 완전히 Retraction 완료하는 단계로 속도는 Flaps Up 속도까지.. 2017. 7. 21.
Short Field Takeoff 1. 짧은 활주로나 출항경로에 장애물이 있을 때 필요2. 특히 이륙할 표면이 가속을 제한할 때 무게를 바퀴에서 날개로 옮기기 위함 - 눈, 고운 모래, 진흙, 풀 등의 거친 표면에서 이륙시3. 급한 Taxi Turn 후 즉시 이륙하지 말 것 : 연료 Tank의 Level이 안정 안 됨4. 부분적 추천된 Flap 사용 : 보통 Flap 은 Normal보다 더 많은 양 사용5. Brake Hold, Full PWR → Brake Release : 이륙 활주전 Engine 작동 check6. VX 도달 후 Pitch Up7. 장애물 회피 후 VY로 가속하고 Flap Up8. 안전한 상승률에 도달하고 남은 활주로에 안전착륙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 후 Landing Gear Up 안전기동고도 도달시 Climb p.. 2017. 7. 19.
측풍이륙 절차 이륙 초기 풍상쪽 (우측)으로 Stick 눕혀 날개들림을 막아주고,→ 항공기가 증속됨에 따라 Weather Vane 현상에 의해 기수가 풍상쪽으로 틀어지는데 이때 반대 R/D를 사용하여 방향을 유지한다→ After Stick은 유연하게 실시하면서, 풍상쪽 날개가 들리지 않도록 Wing level을 유지하 고, Airborne 후 R/D를 Neutral 유지. Crab Method를 유지하여 축선을 유지한다.※ Weather Vane 현상 : 풍상쪽으로 항공기 기수가 틀리는 현상으로 방향유지는 rudder와 aileron 사용 2017.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