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5

PAR, ASR, ARSR 1. PAR (Presision Approach Radar)정밀접근 레이다를 이용하여 관제사의 정보제공을 통하여 정밀접근을 실시하는 계기접근의 한 종류- 관제사는 거리, 방위, Glide Slope 정보 제공- 관제범위 : 거리 10마일, 방위 20°(-5°~+15°) , 강하각 7°(-1°~+6°)2. ASR (Airport Surveillance Radar)공항 주변의 단거리 감시 (60NM 이내)- 항공기 위치 판독, 이착륙 순위 분리, VFR/IFR 항적 분리 등 공항의 계기접근 보조시설로 활용 (거리, 방위) → 고도 자료는 제공하지 않는다.- 관제사는 항공기 Heading으로 관제하는 것이 아니라 Track으로 관제함- 표준 IFR 간격분리 : Radar가 동고도에 있는 항공기의 간격분리를 하.. 2017. 7. 18.
Magnetic Compass 1. 북쪽 (North)의 개념⓵ 진북 (眞北 True North)이란 북극성의 방향이다.⓶ 자북 (磁北 Magnetic North)이란 나침반의 N극이 가리키는 북쪽이다.⓷ 도북 (圖北 Grid North)은 지도상의 북쪽을 말한다.자북이 진북과 차이가 나는 것은 ∵ 지구 자력선을 이용한 나침반의 바늘은 북극이 아니라 자기장이 위치하는 자북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나침반이 가리키는 자북과 북극성 방향인 진북 사이에 차이가 생기는 것이다. (편차)2. 나침반 특성⓵ 직진 수평 비가속시 신뢰성이 높음⓶ 선회시는 15° Bank 이내를 사용시 신뢰도 높음Bearing : 항공기 기수중심Radial : 특정 항법시설 중심3. 편차 (Variation) : 진북 (TH)과 자북 (MH)의 차이⓵ 등편차선 : V.. 2017. 7. 18.
GMT / UTC (Greenwich Mean Time / Coordinated Universal Time) 태양이 본초 자오선에 正中했을 때를 1200로 정한 시각을 세계표준시라 함 〃 15°E 지역은 1시간 경과했으며, 15°W 지역은 1시간 남음(각 지역에서 E쪽은 - 를, W쪽은 + 를 하여 UTC 산출)→ West is best, East is least 2017. 7. 18.
거리 / 단위 1. 육상마일 (SM) : 미국 법정마일 (U.S Statute mile) - 1SM = 5,280ft - 주로 육상을 비행하는 소형기의 속도계 단위2. 해상마일 (NM) : 해당 지역에서 위도 1분의 길이(지역따라 다름)3. 국제 해상마일 (평균치 제정) - 1NM = 6,076ft - A/C 속도계는 대부분 국제해상마일 적용 - 우리나라에 위도 1분의 길이가 1NM에 해당되는 곳 : 북위 45도 부근 2017. 7. 18.
Transponder 운영 1. Transponder 운영⓵ Mode C는 항상 자동적으로 29.92에 Set되어 작동됨⓶ Mode C 작동 금지상황 : 관제사의 “Stop Altitude SQ" Call이 있거나 Mode C 고도가 실제고도와 ±300ft 이상 차이가 날 경우 (Call "Altitude differs 000ft") - Mode C에 의한 고도정보의 허용 한계의 정확도 ±300ft (±90m)⓷ VFR 방식에서의 운용 : ATC 지시가 없는한 SQ 1200 Set⓸ "SQ Altitude " : Mode C를 작동시키라는 지시⓹ "Stop SQ" : 지시된 Mode S/W를 Off하라는 지시2. Transponder 고장 시 목적지로 비행하기 위하여 ATC에 통보, FLT Plan #10에 “N" 표기, 수리공항.. 2017. 7. 18.
NDB (Non-Directional Radio Beacon ; 무지향 표식시설) 1. NDB 특성- 주파수 : 190 ~ 535kHz에서 운영, 400Hz 혹은 1,020Hz로 변조되어 지속 송신- 장비를 통해 저주파/중주파 무지향 신호 송신 발신, 조종사는 Bearing과 Homing 결정 가능- 연속적인 세 개의 문자 식별부호 송신(compass locator, 음성송신 기간 제외)- 음성송신이 없을 때 NDB 송신출력 등급과 함께 W자를 붙인다. (HW)- NDB + Marker Beacon = Compas Locator- 번개, 강수, 정전기등으로 인해 계속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신호 전달 가능- ADF 수신기가 부정확하게 지시할 때 계기상에 Warning Flag가 없으므로 조종사는 NDB 식별부호를 계속 감청하는 것이 추천됨2. NDB 제한사항- 야간 효과 : 야간에는 전.. 2017. 7. 18.
SDF (Simplified Directional Facility) 1. 개념SDF는 ILS Localizer의 역할과 흡사한 최종접근 방향을 지시해 주나, GS 정보를 제공해 주지 않는 접근시설임2. 내용- 접근기술은 GS이 없는 표준 Localizer 접근을 할 때의 요령과 기본적으로 유사- SDF 방향은 활주로 방향으로 정대 되지 않는다는 것과 방위각이 넓기 때문에 Localizer 보다 정밀성이 적다는 것이 Localizer와 차이점- Off Course 지시는 진입방향 중앙선으로부터 35°로 제한됨 2017. 7. 18.
DME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1. 사용주파수 : 962MHz ~ 1,213MHz의 UHF주파수 사용 - TACAN이나 VORTAC 장비는 자동으로 DME 정보를 획득하지만, VOR 장비만 장착한 항공기는 별도의 DME를 탑재해야 함2. 작동원리⓵ 항공기에서 특정간격의 한 쌍의 Pulse를 송신하면 지상 Station에서 이를 수신하여 응신 한다. 이 신호의 왕복 소요시간을 항공기 탑재 DME 장비가 계산하여 거리를 NM로 환산 해 줌⓶ DME는 가시거리로 제한되지만, 199NM 까지 수신가능하며, 대단히 정확성이 높다 (0.5NM 또는 거리의 3% 중 큰 것 이내) (한국:±0.25NM 또는 측정거리 1.25%)⓷ 특히 DME 거리정보는 실 수평거리가 아닌 사선거리임3. VOR 또는 Localizer의 식별부호가 3~4회 송신할 때.. 2017. 7. 18.
ILS (Instrument L/D System) 항공기에 방위정보, 강하각, Marker Beacon정보를 제공하여 시정1/2, 고도 200ft까지 강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밀계기접근 system임기능적인 세 가지 부분유도정보 (Guidance Information) - Localizer, Glide Slope거리정보 (Range Information) - Marker Beacon, DME시각정보 (Visual Information) - Approach Light, Touchdown, Centerline Light, Runway Light1. Localizer (108.1 ~ 111.95 MHz), 50 khz 간격, 40개의 채널 중 1개 사용- Runway Threshold에서 약 700ft 넓이의 신호 제공 (접근 활주로의 반대방향 끝에 위치).. 2017. 7. 18.
ELT (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 불시착한 A/C 위치를 찾아내는 수단으로 개발- 전자식, Battery로 작동- 주파수 121.5 MHz, 243.0 MHz 의 하향가성잡음 발신 (+406 MHz 디지털)- A/C 추락시 발생하는 충격으로 자동작동- 광역의 온도범위에서 최소 48h (2일) 작동- ELT TEST : 매시간 첫 5분에 한함, 3회의 가청음 이하, 체공시험 발사 금지- 비행 중 ELT 신호 수신 시 관련 ATC 기관에 통보 → 최초로 신호를 들었을 때의 위치 → 최종으로 신호를 들었을 때의 위치 → 최대신호 강도가 된 위치 2017. 7. 18.
VOR 점검 1. VOT (VOR 시험시설) 또는 허가된 무선정비소로부터 신호 이용 VOR을 점검 : 최대오차 ± 4°⓵ 주파수 동조 후 CSW 000° SET시 FROM, 180° SET시 TO 확인2. 공항지표면상의 설정된 VOR 점검지점에서 : 최대오차 ± 4°3. 설정된 체공점검지점이나 항로상 점검시 : 최대오차 ± 6°4. DUAL VOR 점검 (항공기에 VOR 장비가 2개 있을 때) : 최대오차 4°5. 헬기나 프로펠러 항공기의 진동에 의한 오차 : 최대 ± 6° Fluctuation (FAA IFH 7-16)※ 시계 허용오차 : 시간당 4.5초. 우리나라 오전 7시에 맞추어 놓고 차이가 나면 일지에 기록, 수정 2017. 7. 18.
VOR Standard Service Volume (SSV) 1. T (Terminal) : AGL 1,000' ~ 12,000', 반경 25NM2. L (Low Altitude) : AGL 1,000' ~ 18,000', 반경 40NM3. H (High Altitude) : AGL 1,000' ~ 14,500', 반경 40NM AGL 14,500' ~ 60,000', 반경 100NM AGL 18,000' ~ 45,000', 반경 130NM 2017. 7. 18.
비행장 등화 1. Airport Rotating Beacon (분당 12~30회)⓵ 주간 운용 기준 : 지상시정 3마일 이하 and/or 실링 1000′ 이하인 경우 - 이•착륙 및 장주 비행시 ATC 인가가 요구된다. - 단지 Beacon Light에 의해 IMC/VMC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⓶ 색깔과 조합 - 백색/녹색: 육상비행장 (민-녹•백, 군-녹•백•백) - 백색/황색: 수상비행장 - 백색/녹색/황색: Heliport → 황색은 위로 비춰짐⓷ 설치 각도 : 1~10° (최대 효과)2. Runway Edge Light⓵ 간격/색깔 : 200' 이하 일정한 간격의 백색등 (고광도, 중광도, 저광도) - 최종 2000‘ or 활주로 1/2 거리 중 짧은 거리내의 백색등은 항공 황색등으로 대치 - 저광도 활주로등.. 2017. 7. 18.
Runway Markings RunwayMarkingVisual Runway (기본 표식)Designation, Centerline, Threshold, Aiming Point비정밀 계기 RunwayVisual Runway + Threshold Marking정밀 계기 Runway비정밀 계기 Runway + Touchdown Zone Marking, Side Stripes 1. Designation (활주로 방향) : 자북 기준 10단위 숫자2. Centerline : 20m 간격으로 30m 길이의 Stripe (국토부 비행장시설 설치 기준)cf) JEPPESEN : 80‘ 간격으로 120’ 실선3. Threshold : 착륙용으로 사용가능한 활주로의 시작부분, 국제•운송용 항공기용4. Aiming Point : Threshold에서.. 2017. 7. 18.
공항표지 (Airport Sign) 1. Mandatory Instruction Signs활주로나 Critical Area의 입구, 항공기 출입금지구역에 표시 (적색 바탕에 흰색 표시)→ ATC의 인가가 없는 한, 항공기 Taxi가 더 진행되어서는 안 되는 지역을 알려줌 → 필수지시표지를 설치할 수 없는 곳에서는 필수지시 표식이 포장면의 표면에 제공됨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의 대기 쪽 유도로 중앙선 표식의 왼쪽에 위치2. Location SignRunway나 Taxiway를 알려주기 위한 표지 (검정 바탕에 황색의 내용 및 테두리)활주로 안전지대의 경계나 Runway에서 빠져나오는 항공기를 위한 ILS Critical Area 표시cf) ILS Critical Area : 운고 800ft, 시정 2SM ※.. 2017. 7. 18.
활주로 상태 1. Dry Runway사용되는 활주로 길이 및 폭에 대해 75% 초과의 표면에 Visible Moisture 없이 Clear 한 상태의 활주로이다.2. Damp (축축한, 습기찬) Runway활주로에 수분이 존재하지만 (Water Spot 또는 수분에 의한 표면 변색) 충분히 젖어 있지 않는 상태이다.3. Wet Runway사용되는 활주로 길이 및 폭에 대해 25% 초과의 표면이 젖어있고 물이 3mm (1/8 inch) 이하의 깊이로 존재하는 상태의 활주로이다.⓵ 아래의 경우 Wet Runway 로 간주한다. - 비가 지속적으로 내리고 있는 상태 (Light/Moderate Rain) - 비가 오다가 그쳤더라도 활주로가 젖어 있고 표면이 반사되는 상태4. Contaminated RunwayRunway의.. 2017. 7. 18.
활주로의 사용 1. TORA (Take Off Run Available)Runway + T/O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구간 (Displaced Threshold Marking)→ The length of runway declared available and suitable for the ground run of an airplane taking off.2. LDA (Landing Distance Available)Runway순수하게 L/D을 위해서 사용 가능한 거리→ The length of runway declared available and suitable for the ground run of an airplane landing.3. ASDA (Accelerated Stop Distance Available)Ru.. 2017. 7. 18.
Pitot Static Blockage (전압 = 동압 + 정압) 1. Pitot 막힘 → 속도계만 영향⓵ Ram Air Inlet (Pitot tube/바람구멍/공기 유입구)만 막힘 : 속도계 Line 내 압력이 Drain Hole로 배출 → 속도계 서서히 “0"로 Drop⓶ Drain Hole (배수구멍/배수구)도 막힘 : Line 내 공기압이 갇힘 - Static port 정상이면 : 속도계는 고도계처럼 반응 (상승 → 증속, 강하 → 감속) - Static port 도 같이 막히면 : 속도계 고정 (변화 없음)2. Static 막힘 → 속도계, 고도계, VSI 영향⓵ 고도계 고정 / VSI "0" 고정⓶ 속도계 : 막힌 고도에서보다 더 높은 고도 비행시 (상승시) 실제값보다 낮게 지시 (감속) → 고도 상승시 공기밀도 감소로 Pitot로 동압이 적게 들어오므로 .. 2017.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