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3

Weight&balance 단위 및 용어 정의 1. 단위 : W&B 업무 수행시 통일된 단위 사용은 매우 중요함 - 예) 거리의 단위서 inch를 ft로 계산하면 12배의 오차가 발생하며, 연료의 단위인 gallon 을 lbs로 생각하여 계산하면 잘못된 결과가 나옴 2. 용어⓵ Mean Aerodynamic Chord (MAC) : 날개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평균공 기역학적 시위선 (평균공력시위)⓶ STATION : ARM과 동일한 개념이나 ARM의 inch 단위를 생략하고 통상 숫자로만 표현 되는 것으로, ARM 50 inch인 특정 지점을 STA 50으로 표현될 수도 있음⓷ Center of Pressure (CP)⓸ Index NO : Moment를 단순화 시켜 W&B 계산을 손쉽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설정된 Reduct.. 2017. 7. 17.
Balance에 대한 이해 1. Balance에 대한 고찰항공기의 무게 분배는 중량만큼이나 중요한 요소 2. Balance의 원리⓵ 무게중심 (CG)와 측정 - MOMENT : 무게에 따라 회전력의 형태로 작용하는 힘 - ARM (or STATION) : 기준점으로부터 물체가 있는 지점까지의 거리⓶ CG : 항공기를 매달면 어느 쪽으로도 기울지 않고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종축상의 한 점으 로 전체 항공기 무게의 이론상의 중심⓷ 탑재량 점검 : Weighing (중량계측) - 조종사는 기초적인 중량점검을 통해 탑재된 중량 및 CG 위치를 계산하고 확인하여, Flight Manual 및 Operation Manual에 지정한 한계치를 준수한다. - 주요 중량한계 : MTOW, MLDW, MZFW 2017. 7. 17.
Weight에 대한 이해 1. 항공기 설계시 무게의 고찰비행 시는 비행시험을 통해 얻어진 자료의 수치를 그대로 제한치로 적용하지 않으며, 안전 FACTOR를 고려한 수치를 설정 (항공기 설계 시 최소 50%의 SAFETY FACTOR를 제공)2. 과중량 (Overload)의 영향Overload는 중량이 MAW (Max Allowable Weight)를 초과했음을 의미→ 근본적인 항공기 성능을 저하시킴⓵ 이륙시의 영향 - 동일한 속도까지 가속하는 데 더 긴 거리의 T/O Roll 필요 - 더 큰 양력을 얻기 위해서 더 큰 T/O SPD 요구⓶ 상승시의 영향 - Vy 와 Vx 는 MTOW를 근거로 설정되므로 중량이 초과된 항공기는 해당 상승성능을 얻 을 수 없으며, 결국 동일한 고도를 얻기 위해서 상승시간 및 구간이 현저히 증가 -.. 2017. 7. 17.
CG & Reference Datum 1. CG (Center of Gravity) : A/C의 무게 중심 → 항공기에 탑재되는 사람, 화물, 장착물에 따라 그 위치가 변동됨⓵ CG의 한계 : 안전한 비행을 위한 무게중심의 허용 변화 - A/C의 CG는 이/착륙 및 비행시 항상 이 범위 내에 있어야 함 - CG 한계는 평균공력시위 (MAC : Mean Aerodynamic Chord)의 백분율이나 항공기의 기준선 (datum line)에서의 inch 단위 거리로 표시 - 이륙, 착륙, 비행 중 초과되지 않아야 할 종축상의 특정 범위로 어느 점을 중심으로 전방 한계와 후방한계가 존재⓶ 계산법 - Moment (lb × in) = ARM (in) × Weight (lb) - CG = Total Moment/Total Weight - 이동된 화물.. 2017. 7. 17.
Weight & Balance의 목적 - 운항 전에 항공기에 탑재해야 할 화물, 승객 그리고 연료 등의 무게를 계산하여 중량한계 (weight limit)를 초과하지 않았는지 파악하고,- 승객 또는 화물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탑재되어 항공기 균형이 제한치(CG limit)를 벗어나지 않았는가를 계산함으로써→ 성능초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운항 도모→ 효과적인 탑재관리로 경제적인 운항에 이바지 2017. 7. 17.
기타 Weather 사항 ● 태양복사에너지는 지구대기대순환을 발생시킨다.● 온도의 증가는 공기를 팽창하게 하여 밀도를 감소시키며, 상승기류를 만들고,● 온도의 감소는 공기를 수축하게 하여 밀도를 증가시키고, 하강기류를 만든다.● 지구의 중력은 대기압력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고도증가에 따른 대기압력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즉, 고도가 높아질수록 압력은 감소하고, 고도가 낮아질수록 압력은 증가한다.● 대부분의 비행은 대류권내에서 이루어진다.● 항공기에 장착되어진 고도계는 직접적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장비가 아니라,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기압계이다● 고기압에서 저기압 지역으로 비행 시, 고도계 설정을 다시 하지 않으면, 항공기의 고도계가 지시하는 지시고도는 실제 고도보다 높게 지시하게 되며,● 저기압에서 고기압 지역으로 비행 시.. 2017. 7. 17.
항공교통의 후류 요란분리 1. 중형제트항공기 및 대형 비중형항공기의 후방에서 비행하는 항공기간⓵ 거리분리 : 중형 JET A/C와 동고도 또는 1000FT 이내 고도후방에서 비행하는 항공기 적용 - 중형 JET A/C 후방에서 비행하는 JET A/C - 4마일 - 중형 JET A/C 후방에서 비행하는 소형/대형 A/C - 5마일⓶ 전방기가 착륙활주로 끝 상공에 있을때 - 중형 JET A/C 후방에서 착륙하는 소형 항공기 - 6마일 - 대형 A/C 후방에서 착륙하는 소형 항공기 - 4마일⓷ 시간 또는 거리분리 - 중형 A/C 후방에서 이륙할 때 : 2분 또는 4마일/5마일⓸ 소형 항공기 다음과 같이 이륙시 : 3분 - 대형 A/C 이륙후 동일 활주로에서 교차 이륙시 - 대형 A/C 이륙후 또는 LOW/MISS APP후 동일 활주로.. 2017. 7. 17.
와류 회피절차(WAKE TURBULENCE) 1. CAUTION WAKE TURBULENCE2. 대형항공기 후방에서 착륙시 : 대형항공기 비행경로 위에서 교차3. 이륙하는 대형 항공기 후방에서 착륙시 : 이륙항공기의 ROTATION 전에서 착륙4. 대형 항공기 다음에 이륙시 - 대형 항공기 ROTATION 지점 이전에 이륙 후 대형 항공기의 상승 PATH 위로 상승5. 활주로 교차이륙 - 동일활주로 : 풍상쪽에서 인접하여 비행하는 대형 항공기에 대하여 조심6. 저고도 접근, MISS APP, 계속 이착륙을 하는 대형 항공기 후방에서 이륙하거나 착륙시 - 최소 2분경과 확인7. VFR 항로 비행시 (1000FT + 500FT) : 대형 항공기의 비행경로 및 후방비행을 회피 2017. 7. 17.
비행요란 (WAKE TURBULENCE) 1. 발생원리 : 날개 상하의 압력의 차이로, 날개 상부-저압, 하부-고압이 발생하여, 날개의 후방 기류를 말려 올라가게끔 하여 발생2. 최대강도무겁고 (HEAVY), 매끈하며 (CLEAN CONFIGURATION), 저속 (SLOW)일때 발생3. 특성- 1,000FT 수직분리 안전- 대형 항공기의 와류가 지면 (약 100 ~ 200FT)으로 가깝게 참하시, 와류는 2~3KTS의 속도로 횡적이동- 측풍은 정풍와류의 횡적 이동력 감소, 배풍와류 이동 증가- 1 ~ 5KTS의 약풍은 정풍와류를 장시간 접지대에 남아있게 함- 약한 45도 배풍일 때 최대의 주의를 요함 2017. 7. 17.
고도계 오차 1. ±75FT 이상 차이시 계기비행에 사용금지2. 계기 오차 2017. 7. 17.
3. AIP (ENR 1.7) ⓵ 인천 비행정보구역내 전이고도 : 14000FT② 전이표면 : FL140③ FLIGHT LEVEL에 영향이 있는 대기압의 변화시 항공교통관제소는 항공기에 허가할 14000FT 또는 그 이상에서 사용가능한 FLIGHT LEVEL을 결정 2017. 7. 17.
고도계 수정 절차 (AIM, AIP) 1. 18000FT 미만에서 비행시⓵ 기압차가 31.00 in Hg 미만시 : 100NM 이내 공항의 보고된 현재 고도계 수정치 (QNH)에 수정⓶ 기압차가 31.00 in Hg 초과시 - 모든 항공기 31.00 에 SETTING → 이후 ATC 지정 QNH - 비행전 기압고도계 정상 작동 점검2. 18000FT MSL 이상에서 비행시 : 표준조정인 29.92“에 SETTING 2017. 7. 17.
뇌우비행 (THUNDERSTORM) 1. 뇌우를 피하는 방법⓵ 접근하는 뇌우를 맞대고 착륙하거나 이륙하지 말 것⓶ 건너편을 볼 수 있다 할지라도 뇌우 아래를 비행하려하지 말 것⓷ 구름 속을 기상레이다 없이 비행하지 말 것⓸ 뇌우 속에 있는 믿을만하다고 할 수 있는 요란표시 시각현상을 믿지 말 것⓹ SEVERE 이거나 ECHO의 강도로 식별된 어느 뇌우일지라도 20마일 이상 회피할 것⓺ 구름위의 풍속 매 10KTS 당 1000FT 고도이상으로 심한 뇌우 꼭대기를 비켜갈 것⓻ 비행구역의 6/10을 뇌우가 덮여 있다면 전 구간을 회피⓼ 선명하고도 자주 있는 번개가 의미하는 것은 심한 뇌우일 가능성이 있음을 명시⓽ 꼭대기가 35,000FT 이거나 더 높은 것을 눈으로 보았거나 레이다로 탐지된 뇌우는 아주 위험한 것으로 간주2. 뇌우를 피하지 못하.. 2017. 7. 17.
MICROBURST (순간돌풍) 1. MICROBURST⓵ 적은 규모의 짧은 시간동안 강하게 부는 하향바람⓶ 순간돌풍이 지상에 부딪힌 후 약 5분간이 가장 심함.2. 크기⓵ 직경 1마일이내, 지상 1000 ~ 3000FT 구름으로부터 강하,⓶ 지상부근에서 2.5마일정도 수평으로 확산3. 강도⓵ 분당 6000FT 강도, 지표부근⓶ 수평바람은 45KTS 강도로서 90KTS의 쉐어를 발생4. 가시적인 증상뇌우와 관련된 많은 비 또는 온화한 대류층에서 증발하는 비 (Virga)와 관련있음.5. 기간⓵ 발생 ~ 소멸까지 15분을 넘기지 않는다.⓶ 수평바람은 최소 5분 동안 증가되며, 2 ~ 4분이 최고 강도 2017. 7. 17.
착빙(Icing) 1. 개념 : 빙결이하 온도에서 대기에 노출된 물체에 과냉각 물방울과 구름 입자가 충돌하여 얼음피막 형성※ 과냉각 물방울 : 0℃ 이하의 온도에서 액체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수적. 구름 안의 온도가 0℃ 이하의 저온으로 되면 차차 빙정의 운립이 많아지지만, -20℃까지는 대부분 구름 입자가 수적으로 존재한다. 과냉각의 수적이 다른 물질과 충돌하면 동결하는 성질이 있는데, 항공기의 착빙도 과냉각 수적이 항공기에 충돌하는 까닭에 일어난다.2. 조건⓵ 대기 중에 과냉각 물방울 존재⓶ 항공기 표면에 자유대기 온도가 0℃ 미만일 것3. 특징⓵ 착빙의 85%는 전선면에서 발생⓶ 전선면에서 온난공기 상승 후 빙결고도 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시 과냉각 물방울에 의해 착빙⓷ 구름 없는 전선면 아래 착빙은 어는 비, 안개비에 .. 2017. 7. 17.
Visibility : 대기의 투명도를 거리로 나타낸 것, 눈으로 볼 수 있는 최대 거리 ⓵ ICAO- Flight Visibility : 비행하는 항공기의 조종석에서 바라본 앞 방향의 시정- Ground Visibility : 인가된 관측자로부터 보고받은 공항의 시정- RVR : 활주로 중심선 상에 있는 조종사가 활주로 표시나 활주로 윤곽을 나타내는 등화나 중심선을 나타내는 표시를 볼 수 있는 거리⓶ USA- Flight Visibility : 비행 중인 항공기의 Cockpit에서 낮에는 불빛이 비춰지지 않은, 밤에는 불빛이 비춰진 물체를 보고 식별할 수 있는 전방 수평거리- Ground Visibility : 인가받은 관찰자에 의해 보고된 지구표면 가까이의 우세한 수평시정- Prevailing Visibility : 연속적일 필요는 없지만 수평원에서 적어도 반원 또는 그 이상에서 가장 멀.. 2017. 7. 17.
항로비행조언업무 (EFAS = Enroute Flight Advisory Service) 주파수 : 122.0MHZ, 지상 5000FT AGL ~ 17500FT MSL 2017. 7. 17.
AMOS (Automated Meteorological Observing System) 자동기상 관측시설, 항공기상 자동관측장비AMOS는 항공기의 운항에 필수적인 기상 정보를 자동 관측하는 시설로서 풍향, 풍속, 온도, 습도, 기압, 강우량 등 기본 자료들을 이 장비에 의해 수집한 다음 활주로 시정, 운고 등과 같은 상세한 자료를 취합하여 관측 자료를 만든다. 이 자료들은 공항 전역에 설치된 영상 화면과 프린터 등 각종 표시기로 전송되고, 또한 이들을 이용해 정시 및 특별 기상관측전문을 만들어 기상자료 수집소로 송신하며 필요에 따라 AFTN을 통해 관제소, 항공사 등에 배포한다.※ AFTN = Aeronautical Fixed Telecommunication Network 2017.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