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3

해상비상착수절차 1. 성공적인 항공기 비상착수의 조건⓵ 해상조건과 바람⓶ 항공기의 형식⓷ 조종사의 숙련도와 기술2. 착수시 SWELL의 전면은 피하라. (AVIOD THE FACE OF SWELL) - SWELL HEIGHT : 물마루와 물골사이의 높이3. 착수시 요령 : 충분한 출력을 가지고 실속 속도보다 10 ~ 20% 많게 하여 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2017. 7. 29.
최저연료통보 1. 최저연료통보 : 비상상태가 아님, 심한 지연시 비상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을 표시하는 통보2. 호출부호 + MINIMUM FUEL3. 비행우선권을 요구한다는 뜻이 아님 2017. 7. 29.
Compressor Stall 1. 개념 : Compressor를 통과하는 공기흐름의 항공역학적인 Interruption ※ ENG' Blade는 Airfoil 형태를 이룸2. Compressor Stall 발생 상황⓵ 흡입속도가 낮은 경우공기의 흡입속도가 작을수록 Blade의 받음각이 커짐→ 받음각이 커지면 압축기의 압축비는 증가하지만 한계 이상이 되면 Blade에 실속 발생 → 압축압력의 급속한 감소로 인해 추력이 감소됨⓶ 기관 가속시 연료량이 너무 많은 경우압축기 출구압력 (연소실압력)이 높아져 Blade에 반대방향의 공기흐름이 발생하여 실속의 원인이 됨⓷ 압축기 입구 공기의 온도가 높거나, 와류현상 발생시흡입구 압력이 낮아지면 흡입공기속도가 감소하여 실속3. 원인- FOD, 고고도 저속에서의 High AOA, 저속에서의 갑작스.. 2017. 7. 29.
Interception Procedures (요격절차) 1. 관제기관에 의해 지시가 없으면 항공기 형태(Type)만 식별2. 요격단계⓵ 1단계 (접근단계) : 통상 2대가 후미에서 접근 (편대대형 Line Abreast)⓶ 2단계 (식별단계) - VMC 상황일 경우 육안접촉 예상 - 피요격기는 속도 감속⓷ 3단계 (요격 후 단계) : 요격 후 항공기 이탈 3. 피 요격 항공기 행동절차 - 요격 항공기에 의해 주어지는 지시에 따르고 수신호에 의해 설명, 응답 - 가능하면 해당 항공교통 업무기관에 통보 - 요격기 또는 해당 요격 통제기구와 243.0㎒/121.5㎒로 무선통화 → 가능하다면 그 항공기의 식별부호와 위치 및 비행 상태 통보 - Transponder Mode 3/A 7700set - 만약 어떤 기관으로부터 무선통화로 받은 지시가 요격기로부터의 지시와 .. 2017. 7. 29.
Distress & Urgency 1. Distress : 재난에 조우한 항공기는 최초 교신 시 ‘MAYDAY'를 3회 반복한다. - 화재, 기계고장 또는 구조 파손 등2. Urgency : 긴급 상황에서는 ‘PAN-PAN' 신호를 사용한다. - 조종사가 자기의 위치에 관하여 애매할 때 - 연료량이 부족할지 의심스러울 때 - 기상상태가 애매할 때 (악기상) - 비행안전상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기타 상황일 때→ 바로 도움을 요청할 시기이지 재난 (Distress) 상태로 발전하고 난 후가 아님※ MAYDAY와 PANPAN의 차이점- MAYDAY : 즉각적인 조치요구 또는 절박한 위험의 심각성이 있는 상태. 모든 통신에 우선권이 있다.- PANPAN : 즉각적인 지원이 요구되지는 않지만 주요 탑승객 또는 시야에 있는 사람, 항공기, 그 밖의.. 2017. 7. 29.
엔진 배기가스색에 따른 문제점 1. 청색 : 오일 누유2. 흰색 : 수분 함유3. 흑색 : 불완전 연소 2017. 7. 29.
조종상태에서의 지상충돌 (CFIT :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조종사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행기가 지형 또는 수면을 향해 비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사고를 말하며, 비행기의 기계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는 제외한다. 2017. 7. 29.
Emergency Descent 비행 중 여압 비행기 감압시, 주요 출입문 또는 창문 고장, 승객 및 승무원 무력 증상 발생시, 화재1. High Speed/Low DragVno까지 증속 강하, Clean 상태, PWR Decrease (100% 산소 - 여압은 미실시, 기압강하)2. Low Speed/High Drag항공기 손상 동반 비상의 경우 (FLAP, L/G), PWR Decrease, 외장에 대한 속도 제한 2017. 7. 29.
Critical Engine : Eng. Fail시 A/C 성능이나 Control에 훨씬 안 좋은 영향을 주는 Eng. 엔진 fail시 항공기 성능이나 조종에 훨씬 안 좋은 영향을 주는 엔진양발 프롭 항공기에서 좌측 엔진 fail시 우측 엔진에 의한 추력과 우측엔진 자체의 좌로 틀리려는 경향 때문에 위험이 더 커진다.→ 추력의 중심이 동체중심선으로부터 훨씬 멀어 모멘트가 커짐 2017. 7. 29.
Engine Failure 1. 비행 중⓵ Optimum Glide Speed / V2 이상의 안전속도를 유지한다.⓶ Maintain A/C Control⓷ Analyze the situation and take proper action (상황 판단 / 분석 및 적절한 조치) - 결함 Engine Throttle Off - 좋은 쪽 Engine으로 A/C 자세유지, VMC 이상 유지 (VYSE) - Failed Engine 결함 파악 후 가능하다면 Air start 시도 - SQ 7700 set, MAYDAY 3번 Call 착안 사항 → ETP (등시점) 확인하여 출발지로 돌아갈 것인지, 목적지 또는 대체 비행장에 착륙할 것인지 결심 → 필요하다면 Drift Down (성능감소에 따른 고도 강하)를 관제기구에 요청⓸ 최인근 기지 .. 2017. 7. 29.
TWO WAY COMMUNICATION FAILURE AIM (P.328)ICM (P.7-15)JEPPPESEN(EMER' 5)■ VFR 기상상태VFR로 계속 비행하여야 하며 될수 있는 한 빨리 착륙해야 한다.⇒ 송수신 무선통신고장의 주 목적은 VFR 기상상태에서, ATC 체제내에서 계속 IFR 비행을 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IFR 기상상태▲ 항로(Route)ⅰ. 최종적으로 받은 ATC 비행인가에 지정된 항로를 따라 비행한다.ⅱ. 레이다 유도를 받고 있을 때, 무선고장이 발생한 곳으로부터 레이다 벡터 인가에 지정된 Fix까지의 경로 또는 항로까지 직행경로로 비행한다.ⅲ. 지정항로 지시를 못 받았을 때, ATC의 차후 인가예정인 항로를 따라 비행한다.ⅳ. 지정항로 또는 ATC의 차후 비행인가예정인 항로도 못 받았을 때는 비행계획서에 기재한 항로를.. 2017. 7. 29.
Lost Position (VFR) 시각 참조점, 지상의 고정지점, 또는 비행계기를 참조하라. 그래도 자기의 위치에 한하여 의심스러우면 긴급 상태임을 ATC에 보고하라. 통신이 더 잘 되고 레이다 및 방향탐지기의 포착을 위해 가능하면 상승하라. 그리고 지정 MODE A/3 해당 CODE (1200)를 계속 작동시키고 있어야 한다. 항공교통기관과 즉시 교신할 수 없으면 MODE A/3, CODE 7700 및 MODE C를 작동하라. 항공교통기관과 Contact 후에는 Lost시의 최종위치, 시간 및 그 위치 이후의 경로를 포함한 규정된 보고 (AIM P.320)을 실시하라.- 5C의 의미 : Climb, Contact, Confess, Comply, Conserve 2017. 7. 29.
비정상 비행자세로부터의 회복 1. 진입 요인 : 자세계 고장, 공간상 방향상실, 난류, 주의 산만, 비정상 Trim 상태2. Nose High 자세- 증상 : Nose High 자세, 속도 감소, 급격한 고도 상승, 높은 상승률- 회복초기의 목적 : 실속 방지- 회복조작 ⓵ Power Increase ⓶ Lower the nose (Pitch 감소/AOA 감소) : 60도 bank (ICM 45도) 초과금지 ⓷ 회복후 Wing Level3. Nose Low 자세- 증상 : Nose Low 자세, 속도 증가, 빠른 고도 손실, 깊은 강하율- 회복초기의 목적 : 위험할 정도의 고속도와 Load Factor를 방지- 회복조작 ⓵ Power Decrease ⓶ Wing Level, Pitch Pull Up하여 수평자세 유지 → Bank진 .. 2017. 7. 29.
한국vs일본 독도에서 전쟁할 뻔? (하)편 (그때 그 사건_2006) 2017. 7. 22.
한국vs일본 독도에서 전쟁할 뻔? (그때 그 사건_2006) 2017. 7. 22.
일본vs중국 황해에서 맞붙은사건(청일전쟁_1894_황해해전)그때 그 사건 2017. 7. 22.
독일vs영국 비스마르크함의 출항(그때 그 전쟁_1941) 2017. 7. 22.
[근대전쟁특집]백인vs흑인, 흑인이 백인을 이긴전쟁? 2017. 7.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