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1. 철새의 활동(Migratory Bird Activity)
가. 조류 충돌 위험은 3월에서 4월과 8월에서 11월 동안 새들의 이동 때문에 증가된다. 나. 새떼 이동의 고도는 상층바람, 기상전선, 지형고도, 구름상태 그리고 기타 주위환경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보고된 조류 충돌의 90% 이상은, 지면으로부터 3,000ft 이하에서 발생하며, 높은 고도에서의 충돌은 보통이동하는 동안이다. 오리나 거위는 7,000ft (AGL)까지 흔히 관측되고, 조종사는 철새가이동하는 동안 저고도에서의 항로비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주의한다. 다. 무리를 이루는 갈매기, 물새, 독수리, 매, 올빼미, 해오라기 검은 새 그리고 찌르레기는 그들의 크기, 수 혹은 나는 습관 때문에 항공기에게 가장 큰 잠재적 위험임을 생각하라. 4개의 주 철새 이동 경로가 미합중국에 존재한다. 대서양 ..
2017. 12. 9.
7-4-6. 도시된 U.S. 야생동물 보호지역, 공원 그리고 삼림업무구역으로의 비행(Flight Over Charted U.S. Wildlife Refuges, Parks, And Forest Service Areas)
가. 항공기 착륙은 관련기관으로부터 인가를 받지 않은 한 국립공원업무, U.S. 물고기와 야생동물업무 또는 U.S. 산림업무에 의해 관리되는 땅이나 수역에 대해서는 금지된다. 예외사항은; (1) 조종불능 비상상태에서의 비상착륙시 (2) 공식적으로 지정된 착륙지점 또는 (3) 연방정부의 인가된 공무 나. 모든 항공기는 다음의 지형상공 최소 2,000ft고도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즉, 국립공원, 유적지, 해안, 호반, 국립공원 사무소에 의하여 관리되는 유원지와 경치가 아름다운 강변길, 국립야생동물 보호구역, 사냥보호지역, U.S.물고기 및 야생동물업무 사무소에 의하여 관리되는 사냥지역과 야생동물지역 그리고 U.S.삼림업무사무소에 의하여 관리되는 자연지역과 원시보호구역 주:FAA Advisory Circula..
2017. 12. 9.
7-5-3. 비행시 장애물(Obstructions To Flight)
가. 안테나탑 1,000피트 또는 2,000피트(AGL)이상 높게 뻗어 있는 상당수의 골조물(Radio 와 TV 안테나탑) 때문에, 지상으로부터 2,000ft 미만을 비행할 때는 극히 주의가 요구된다. 대부분의 골조물은 받침쇠, 줄, 전선에 의해 지지된다. 이 전선은 좋은 기상에도 보기가 힘들고, 어둡고 시정이 감소된 때에는 완전히 볼 수 없다. 이 전선은 구조물로부터 수평으로 약 1,500ft 연장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골조물은 최소한 2,000ft 이상 피해야 한다. 덧붙여서, 새로 생긴 탑은 Chart를 인쇄할 때 정보를 받지 못해서 현재 Chart에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나. 가공선 가공전선과 유용선은 가끔 활주로, 호수, 강 그리고 깊은 협곡과 조종사들이 지상 저명지물로 선정하는 ..
2017.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