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3

AM (Automation Management) The demonstrated ability to control and navigate an aircraft by means of the automated systems installed in the aircraft. 2017. 7. 8.
CFIT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1. Several operational techniques that will help you avoid a CFIT accident - Maintain situational awareness at all times. - Adhere to safe takeoff and departure procedures. - Familiarize yourself with surrounding terrain features and obstacles. - Adhere to published routes and minimum altitudes. - Fly a stabilized approach. - Understand ATC clearances and instructions. - Don't become complacent. 2017. 7. 8.
TM (Task Management) 1. The process by which pilots manage the many, concurrent tasks that must be performed to safely and efficiently operate an aircraft.2. Several options that a pilot can employ to decrease workload and avoid becoming overloaded - Stop, think, slow down, and prioritize.3. One method of prioritizing tasks to avoid an overload situation - "aviate, navigate, and communicate."4. Two common methods of.. 2017. 7. 8.
RM (Risk Management) 1. A decision-making process designed to systematically identify hazards, assess the degree of risk, and determine the best course of action.2. The "PAVE" checklist during flight planning help me to assess risk - Pilot-In-Command : general health, physical/mental/emotional state, proficiency, currency - Aircraft : airworthiness, equpment, performance capability - enVironment : weather hazards, t.. 2017. 7. 8.
ADM (Aeronautical Decision Making) 1.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mental process used by aircraft pilots to consistently determine the best course of action in response to a given set of circumstances.2. Two models are commonly used when practicing aeronautical decision making - The DECIDE model & The 3P model3. The DECIDE model - Detect a change needing attention. - Estimate the need to counter or react to a change. - Choose th.. 2017. 7. 8.
SRM (Single-pilot Resource Management) 1. The art and science of managing all the resources (both on-board the aircraft and from outside sources) available to a single pilot (prior to and during flight) to ensure the successful outcome of the flight.2. Examples of the skills necessary for effective SRM⓵ ADM (Aeronautical Decision Making)⓶ RM (Risk Management)⓷ TM (Task Management)⓸ AM (Automation Management)⓹ CFIT (Controlled Flight .. 2017. 7. 8.
Wheel Barrow Effect (삼륜차 효과) 1. Tricycle type 항공기에 있어서 항공기의 무게가 전방에 더 많이 걸려 있어 이착륙시 주로 나타나며, 특히 측풍시 Nose Gear를 축으로 급격하게 기수가 틀어지는 현상2. 증상⓵ 방향유지 불안정⓶ 바퀴가 옆으로 미끄러져 Brake 압력을 가할 때 효과가 급격히 상실됨⓷ 착륙시 속도가 정상보다 많을 때 많이 발생3. 처치 : Nose를 Up하여 전방 및 Nose Gear의 무게를 덜어준다. 2017. 7. 6.
순항성능(cruise performance) 1. 최대거리 (max range speed) : 단위 연료당 진행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낼 수 있는 속도비행거리 (NM) / 연료량 = 속도 (KTS/HR) / 연료소모량 (LBS/HR)→ 양항비가 최대인 점 (DRAG 최소화) → 장거리 비행⓵ Prop : 연료소모율 최소, 추력효율 최대, 공기밀도와 무관⓶ Jet : 고고도에서 최대 항속성능. 공기밀도 작을수록 항속거리 증가, 형상항력이 유도항력의 3배일 때 최대 항속거리 얻어짐2. 최대 체공 (Max Endurance Speed) : 단위 연료당 비행할 수 있는 시간이 최대인 속도비행시간 / 연료량 = 1 / 연료소모량 (LBS/HR)→ 비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PWR가 최고인 속도→ 최대인 고도는 해면고도⓵ Prop : 탑재연료량 증가,.. 2017. 7. 6.
Spin 1. 정의악화된 실속 현상으로 Stall에 의해 조종효과 상실 후 조작이나 외부의 영향으로 Yawing 모멘트가 발생하여 나선형태를 그리며 강하하는 현상완전한 실속 (full stall)이 발생한 상태에서 한쪽 (낮아진) 날개는 full stall 상태로 남고, 상향된 날개는 실속에서 회복되면서 약간의 양력을 발생할 때 진입→ 회전축을 중심으로 계속적인 rolling과 자동회전을 발생항공기가 Stall에 이르는 AOA를 가지면, 연료의 비대칭적인 적재나 조종사의 비대칭적인 조작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Rolling이 생긴다. 이후 Rolling에 의해 좌우 날개 양력의 불균형이 생겨 자동적으로 항공기는 Rolling과 Yawing을 하면서 나선형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2. 회복⓵ Throttle - Idl.. 2017. 7. 6.
Stall 1. 정의최대양력을 받을 수 있는 AOA에서 각을 더 증가시킬 때 공기의 흐름이 날개에서 분리되어 그 부분의 압력이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양력이 감소하며 항력이 급증 현상즉, AOA이 증가하여 최대양력지점 (CLMAX)를 지나면 → 임계 받음각 (Critical angle of attack)2. 분류⓵ 유동력 실속 : 이륙과 출항 (or 상승) 외장과 관련⓶ 무동력 실속 : 접근 외장 상태에서 발생⓷ 직진 실속⓸ 선회 실속⓹ 가속 실속 : 급격하고 초과된 기동에 의해 야기. 과도한 Back Pressure 실속이라고도 함. - 급선회 또는 항공기의 급격한 변화를 포함하는 Pull Up과 같은 기동 중 발생⓺ 2차 실속 : 어떤 실속에서 부적절한 회복 조작 동안 발생. - AOA을 줄이기 전 그리고 충분.. 2017. 7. 6.
급선회(steep turn) 급선회시 수평유지 안 되는 이유 : 양력의 수직성분의 감소로 인해→ L = 1/2рV2CLS에서 1/2은 밀도와 관련이 있으며, 뱅크시 양력이 줄어드는 이유는 수직성분의 S가 감소하기 때문cf) 수평선회 : 양력 (L)의 수직성분 (Lcosθ) = 항공기에 작용하는 중력 (W)→ Bank가 깊어지면 같은 양력의 수직성분을 얻기 위해서는 양력을 중가해야 함. 따라서 수평선회를 유지하기 위해 받음각의 증가, 추진력의 증가가 필요 2017. 7. 6.
Wake Turbulence 1. 대기를 지나가는 A/C의 통로에서 야기되는 현상- 날개 상하부의 압력차로 공기는 Wing Tip쪽으로 흘러 Vortex를 야기- 위험한 Wake Turbulence는 특히 이착륙 단계의 저속, high AOA, 대형 및 중형 A/C, Clean 외장에서 발생. → 기체손상 및 조종능력 상실 야기- Vortex는 약 400 ~ 500 fpm으로 강하 및 비행경로 하부 약 900ft 거리에서 수평이 된다.- 무풍시 Vortex는 지면에 머무르려는 경향이 있고 약 2 ~ 3K 속도로 바깥쪽으로 이동 → 약 45° 배풍시 최대 위험2. 회피 절차- 대형 A/C 뒤에 착륙시 : 대형 항공기 Glide Path 위에 머무르고 접지점을 지나서 접지- 대형 A/C 이륙 후 이•착륙시 : 전방기 Rotation 지.. 2017. 7. 6.
Ground Effect 지표면 가까이에서 비행시 지면이 일반적인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유도항력을 감소시킬 때 나타남 (이륙시, 접지 직전)- 유도항력 : 날개의 수직적 양력 Vector가 상대풍에 의해 직각으로 작용하고, 이는 중력에 반대되는 수직방향과 차이가 있는 데, 이 때 발생되는 항력임- 지면 가까이 비행하여 날개의 Down Wash와 Wingtip Vortex가 지면에 부딪치면서 상대풍의 각도를 평평하게 함으로써 양력의 수직 Vector가 줄어들어 유도항력이 감소된다. → 이러한 유도항력의 감소는 보다 낮은 영각과 추력감소를 요구한다.- Ground Effect의 발생은 Wing Span과 같은 높이에서 발생하며 Wing Span의 1/2 고도에서 최대가 되어 Floating 현상이 발생하므로 착륙시 당김 조작은 1.. 2017. 7. 6.
T/O, L/D Distance 1. 이착륙 중 항공기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공기밀도, 온도, 지면풍 (바람), 활주로 표면 및 경사도, 항공기 무게2. 이착륙 거리⓵ T/O Distance : 쌍발 35ft 이상 상승시 까지의 거리 (3발 이상 50ft)⓶ L/D Distance : 10kts까지 Decrease 될 때까지의 거리로 RWY 길이의 60% (FAA), 70% (ICAO)에 충족되어야 함3. 정/배풍시 이착륙 거리 증감증감률 = (1±VWIND/VT/O)2, 정풍시 “-” / 배풍시 “+”ex) T/O Speed 100kts, Wind 10kts 일 경우 - 정풍 : (1-10/100)2 = 0.81 → 19% 감소 - 배풍 : (1+10/100)2 = 1.21 → 21% 증가 2017. 7. 6.
Dutch Roll : 가로안정성 > 방향안정성 요란등으로 Yawing이 발생된 경우 가로안정성이 이를 막기위해 Roll이 발생된다. 이때 뒤늦은 방향안정성(Yaw)이 반대편으로 Yaw를 발생시키고, 이를 막기 위해 반대편으로 Rolling이 또다시 발생하는 현상 2017. 7. 6.
Spiral Instability : 방향안정성 > 가로 안정성 강풍등으로 횡적 Yawing 발생시 방향안정성은 기수를 풍상쪽으로 틀어주는데 이때 가로안정성이 막아주지 못하고 반대편 날개의 Turning Moment가 안쪽보다 커서 Bank가 더욱 깊어져 Overshoot하는 현상 2017. 7. 6.
Adverse Yaw 1. 정의 : Aileron을 사용하여 Bank를 주면 Rolling 각속도에 의해 선회 반대쪽으로 Yawing 현상이 발생하는 것2. 원리 - 항공기가 선회시 선회하는 방향 날개의 Aileron은 양력을 감소시키고, 반대쪽은 양력을 증가시키게 됨. - 이때 양력의 증가는 유도항력의 증가를 동반하므로 양 날개의 양력차에 의해 경사가 지면서 동시에 항력으로 인하여 반대방향으로 Yawing 현상이 발생함3. ADVERSE YAW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저속 즉 HIGH AOA 상태에서 급격한 선회를 삼가야 한다 - Adverse Yaw 방지를 위해 선회 및 Roll Out시 선회방향의 R/D를 사용하여 Yaw를 막아줄 것 2017. 7. 6.
항공기 안정성(stability) 1. 정의 : A/C가 돌풍이나 교란을 받았을 때 조종사의 조작이나 조종장치 등에 의하지 않고 정상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2. 정적 안정성(Static) : 평형상태에 있는 A/C가 외부요란을 받았을 때 원래의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초기 경향3. 동적 안정성(Dynamic) : 평형 상태에 있는 A/C가 외부요란을 받았을 때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원래의 평형상태로 돌아가려는 경향⓵ POSITIVE, NEUTRAL, NEGATIVE로 구분⓶ 정안정을 가진다고 동안정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동안정성을 가지면 정안정성을 가지 게 된다.4. 세로 안정성 (y축 (가로축) - Pitch, Elevator)⓵ A/C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가 가로축에 대하여 평형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성⓶ 항공기 무게중심 .. 2017.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