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복사에너지는 지구대기대순환을 발생시킨다.
● 온도의 증가는 공기를 팽창하게 하여 밀도를 감소시키며, 상승기류를 만들고,
● 온도의 감소는 공기를 수축하게 하여 밀도를 증가시키고, 하강기류를 만든다.
● 지구의 중력은 대기압력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고도증가에 따른 대기압력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즉, 고도가 높아질수록 압력은 감소하고, 고도가 낮아질수록 압력은 증가한다.
● 대부분의 비행은 대류권내에서 이루어진다.
● 항공기에 장착되어진 고도계는 직접적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장비가 아니라,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기압계이다
● 고기압에서 저기압 지역으로 비행 시, 고도계 설정을 다시 하지 않으면,
항공기의 고도계가 지시하는 지시고도는 실제 고도보다 높게 지시하게 되며,
● 저기압에서 고기압 지역으로 비행 시, 고도계 설정을 다시 하지 않으면,
항공기의 고도계가 지시하는 지시고도는 실제 고도보다 낮게 지시하게 된다.
● 비행지역이 고기압 내에 있다 할지라도, 산악지형 부근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면,
산악지형 부근으로 국지적인 저압대가 형성되어,
실제고도보다 고도계가 지시하는 지시고도가 높게 지시될 수 있다.
● 기압고도계를 설정한 후, 온도보정을 하지 않으면 고도오차가 발생한다.
따뜻한 지역에서 추운 지역으로 비행 시, 공기가 수축되어
고도계의 지시고도는 실제고도보다 높게 지시하며,
● 반대로 추운 지역에서 따뜻한 지역으로 비행 시, 공기가 팽창하게 되어
고도계의 지시고도는 실제고도보다 낮게 지시 하게 된다.
● 자연계는 온도차가 발생하면 그 차이나 규모에 상관없이 온도차를 상쇄시켜
열적평형 상태(Thermal Equilibrium State)에 도달하려고 하는 성질이 있다.
● 대류권계면 부근의 고고도에서 온도차가 크게 발생하면,
온도차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온도의 경계면 부근에서 제트기류가 발생한다.
● 제트기류는 제트의 골(Trough) 방향으로
비교적 천천히 진입하여 빠르게 빠져 나오는 경향이 있다.
● 제트기류의 골(Trough)과 능(Ridge) 사이에서
전체 청천난류(CAT)의 75 %가 발견된다.
● 제트기류의 골(Trough) 전방에서는 수평적 방향의 윈드시어와
연직적 방향의 윈드시어가 발생할 수 있고, 이중 연직적 방향의 윈드시어가 더 위험하다.
● 윈드시어는 어떤 고도에서도 갑자기 발생할 수 있다.
● 저고도 기온역전층이 발생한 경우,
역전층 상부 경계면에서 온도차에 의한 불안정한 대기상태로 인하여
강한 윈드시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착륙하는 항공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저기압 전선대가 통과할 때,
전선면을 경계로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하므로 윈드시어가 발생할 수 있다.
● TS 가 있는 경우 강한 Echo 와 최소한 20 NM 이상 거리를 두고 회피하여야 하며,
CB 구름 내부에 강력한 연직방향의 윈드시어가 존재함을 기억해야 한다.
● 제트기류의 골과 능 사이에서 전체 CAT 의 75 % 이상이 발생하며,
Weather Radar 로도 예측할 수 없으므로, PIREP 을 통한 정보공유가 중요하다.
● 2000 ft 미만의 고도에서 이착륙 시, 풍향과 풍속이 급격히 변하는 난류를 LLWS 라고 한다.
● LLWS 는 온난전선이 지나기 6 시간 전부터,
그리고 한랭전선이 지난 2 시간 이후까지 발생할 수 있다.
● 50 mile 정도 떨어진 두 지점에서 풍속차가 20 kt 이상 차이가 나거나
또는 온도차가 5 ℃ 이상 나면 LLWS 가 발생할 수 있다.
● 전선을 동반한 저기압이 30 kt 이상의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 LLWS가 발생할 수 있다.
● Wake Turbulence 는 항공기의 크기와 중량이 클수록 강해진다.
● 바람이 없는 맑은 날이나, 저고도 기온역전층이 존재하는 경우 더욱 오래 지속된다.
● Wake Turbulence 는 5 분 정도 지속되며,
레이더 관제를 받지 않는 경우 항공기분리 기준은 2 분이다.
● 가능하면 산악파가 있는 지역을 우회하고,
우회가 어려울 때는 적어도 산맥고도 보다 50 % 더 높은 고도로 비행할 것
● 산맥 풍하 측의 강한 기류와 말린구름 그리고 높은 고도의 렌즈구름,
특히 구름의 끝이 거칠 때 이를 피할 것
● 산악지형 부근에서 강한 기류로 인해
기압고도계의 지시고도는 실제고도 보다 더 높은 곳을 지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
● 뇌우구름 내 존재하는 상승 및 하강기류는 매우 강력하다.
또한 우박, 윈드시어, 마이크로버스트, 착빙, 낙뇌 등의 악기상이 동반된다.
모루구름 주변 또한 위험한 공간이므로 회피한다.
● 보통 한여름 국지적 지면가열에 의해 뇌우구름이 많이 만들어지나 과도한 태양복사에너지가
공급되는 적도 부근 열대수렴대(ITCZ)는 강력한 상승기류로 연중 뇌우구름이 발생한다.
● 마이크로버스트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매우 강력한 하강기류로
그 값은 분당 6,000 ft 이상까지 도달한다.
● 착빙은 뇌우구름 내의 모든 고도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 특히 구름의 중상층과 -8 ~ +8 ℃ 온도 구간이 더 위험하다.
착빙이 예상되면 PITOT Heat 와 Anti-Icing 을 적용한다.
● 스콜선 뇌우는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악기상 중 하나이다.
뇌우구름이 줄지어 있으므로 회피가 쉽지 않다.
비행 전 SIGMET Chart 나 PIREP 등을 통해 미리 정보를 입수하고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회피를 위해 연료가 더 소모될 수 있으므로 비행 전 미리 준비한다.
● 기상레이더에 관측된 말린 듯한 에코(Finger, U-Shape, Hook 타입)들은 강력한 저기압성
회전력에 의해 그 모양이 변형된 것이므로, 특히 조심해야 한다.
이런 말린 듯한 둥근 에코는 토네이도, 착빙, 우박, 강한 강수, 윈드시어, 강풍 등을 동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G & Reference Datum (0) | 2017.07.17 |
---|---|
Weight & Balance의 목적 (0) | 2017.07.17 |
항공교통의 후류 요란분리 (0) | 2017.07.17 |
와류 회피절차(WAKE TURBULENCE) (0) | 2017.07.17 |
비행요란 (WAKE TURBULENCE) (0) | 2017.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