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3

ASOS (Automated Surface Observation System) 미국 내에서 ASOS는 국가 기상업무국, 연방항공국과 국방성에 의해 권한을 위임받은 지상기상관측체계이다. 이것은 항공 운영과 기상예보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ASOS는 지속적인 분 단위 관측사항을 제공하고, 일상적인 항공기상보고 (METAR)와 다른 항공기상정보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관측기능을 수행한다. ASOS 정보는 별도의 VHF RADIO 주파수 또는 국지 항법보조시설의 음성부분을 타고 전송된다.⓵ 특징 - 최대 수신거리 : 25NM / 10,000FT (AGL) - ATIS와의 차이점 : 1분마다 기상업데이트와 Data link에 의한 D-ATIS를 제공한다.※ AIP 참고 - Tm : Transmissometer - Cm : Ceilometer - LLWAS : Low Level .. 2017. 7. 17.
AWOS (Automated Weather Observing System) 조종사에게 국지적인 실시간 기상자료가 직접 전송되는 자동기상관측체계.⓵ 내용 : 3,000ft 이상 25NM 이내, 매분 20 ~ 30초간 기상예보 방송⓶ 종류 - AWOS - A : 단지 고도계 설정치만 보고 - AWOS - 1 : 통상적으로 고도계 설정치, 바람 자료, 온도, 노점과 밀도고도를 보고 - AWOS - 2 : AWOS - 1 + 시정 - AWOS - 3 : AWOS - 2 + Cloud (CIG) 2017. 7. 17.
기상 측정 - 바람 : 10m 높이 (장비 측정은 진북기준 평균 10분, TWR 자방위 2분)- RVR : 5m 높이- 시정 : 2m 높이- 온도 : 1.5m 높이에서 측정 ※ (참고) 항공기상업무지침- 바람 : 10±1m 높이- RVR : 2.5m 높이- 시정 : 2.5m 높이- 온도 : 항공기엔진의 평균높이에 해당하는 값을 측정할 수 있는 높이로 설치 2017. 7. 17.
Categorical Outlook (범주적 전망) 비행 계획을 위해 사용되는 Area Forecast에서 사용구 분Ceiling시 정LIFR (Low IFR)500' 미만1마일 미만IFR500' ~ 1000' 미만1 ~ 3마일 미만MVFR (Marginal VFR)1000' ~ 3000' 미만3 ~ 5마일 미만VFR3000' 이상5마일 이상 2017. 7. 17.
Fog와 Cloud의 구준 기준 - 50ft 이상 Cloud - 50ft 이하 Fog 2017. 7. 17.
Convective SIGMET • 정의모든 항공기의 안전에 중요한 현재 또는 예상되는 위험한 대류성 기상에 대해 발표• 발표- Issurance time : 55 minutes past the hour- 유효시간 : 2시간• 관련 기상조건- Severe Thunderstorm : Tornados, 직경 3/4인치 이상의 우박, 50 kts 이상의 돌풍- Embedded Thunderstorms- A line Of Thunderstorms- 광범위한 뇌우 : 40 percent more of an area at least 3,000 square miles 2017. 7. 16.
SIGMET (Significant Meteorological Information) • 정의모든 항공기 조종사에게 잠재적 위험이 있는 기상현상을 조언하기 위한 비행 중 기상 경보• 발표- 주기 : 매 6시간- 유효시간 : 4시간, 화산재 구름 및 태풍 6시간- 현상의 발생이 예상되는 시각으로부터 4시간 이내 발표• 관련 기상조건- Severe Icing & Turbulence, Extreme Turbulence- 광범위한 모래 또는 먼지폭풍과 시정 3마일 이하의 화산재• 적용 범위- 항행고도 10,000ft 이상의 범위에 적용• Abbreviation- WKN (weaken) : 강도 약화- INTSF (intensify) : 강도 증가- NC (no change) : 강도 불변- OBS (observation)- STNR (stationary)- WDSPR (widespread)※ (.. 2017. 7. 16.
AIRMET (Airman's Meteorological Information) • 정의단발엔진 비행기와 경항공기 조종사에게 잠재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기상현상을 조언하기 위한 비행 중 기상 경보• 발표- 주기 : 매 6시간- 유효시간 : 4시간, 현상의 발생이 예상되는 시각으로부터 4시간 이내 발표• 관련 기상조건- Moderate Icing & Turbulence (Z & T)- 30 kts 이상의 지속적인 지상풍 (T)- 광범위한 1,000ft 미만의 Ceiling 또는 3SM 미만의 시정 (S)- 광대한 산악 시정 장애물 (S)• 적용 범위- 항행고도 10,000ft 미만의 범위에 적용 (산악지역 15,000ft 미만) 2017. 7. 16.
PIREP (Pilot Weather Reports) • 정의항로상의 조종사가 관측한 기상을 관제기관에 보고해 줌으로써 동일 항로를 비행하는 조종사에게 적절한 기상조언을 제공하기 위한 보고• 관련 기상조건- Ceiling 5,000ft 이하, 시정 5SM 또는 그 이하- 뇌우와 이와 관련된 기상- Light 이상의 착빙- Moderate 이상의 난기류- Wind Shear (전단풍)- 화산 폭발 및 화산재• 난류의 강도별 기준 : Light - Moderate - Severe - Extreme- Occasional : 시간의 1/3 미만, - Intermittent : 시간의 1/3 ~ 2/3, - Continuous : 시간의 2/3 이상 2017. 7. 16.
TAF (Terminal Aerodrome Forecast) • TAF : 비행장 5NM 이내공항예보는 특정기간 (보통 6시간에서 30시간) 동안 공항에서 예상되는 우세한 기상상태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합의된 부호를 이용하여 서술하는 것• 공항예보의 발표시각.- 국제공항에 대한 공항예보는 05, 11, 17, 23 UTC (홀수) → 08, 14, 20, 02 KST- 국내공항에 대한 공항예보는 00, 06, 12, 18 UTC (짝수) → 09, 15, 21, 03 KST• 공항예보의 유효시각.- 공항예보의 유효시간은 각각의 발표시각 1시간 이후부터 30시간 이내• AMD VS COR- AMD : 기상변화에 따른 예보수정시 발행- COR : 기 발행된 TAF의 자료를 수정할 시에 발행• BECMG VS TEMPOBECMG 1610/1612TEMPO 1612/161.. 2017. 7. 16.
METAR (Aviation Routine Weather Reports) • SPECI (A Nonroutine Aviation Weather Reports)정시관측 사이에 지상풍, 시정, 활주로 가시거리, 현재일기 또는 구름에 관한 특정 기준값 이상의 변화가 있을 때 실시하는 관측(단, 인천공항은 30분마다 측정하므로 생략)• ICAO Station Identifier : RKSI/ICN, RKPK/PUS, RKSS/GMP, RKPC/CJU• 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 Z) : KST = UTC + 9- 만국공동시. 영국 그리니치 시간을 ‘0’시로 규정• Wind (direction/speed)- 풍향 : True North- 풍속 : 정시 전 10분간 평균 값, AUTO : 2분 평균값- Gust : 변동이 평균풍속과 Peak가 10kt 이.. 2017. 7. 16.
Wind Shear • 정의단거리에서 풍속/풍향이 급변하여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미치는 것2,000ft 미만에서 이착륙중인 항공기에 영향을 미침• 형성 조건- 전선대나 뇌우에서 주로 발생- 전선면 사이의 바람차가 20kts 이상- 전선면 사이의 온도차가 5℃ 이상- 전선 이동속도가 30 kts 이상• 특성- 고도와 무관하게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존재- 저고도 기온 역전- Jet Stream 전선 지역에 잘 나타남• 증상- 500 FPM 이상 변화 / 10 kts 이상 변화- 5° Pitch 이상 변화 / Power 10 % 이상의 사용 2017. 7. 16.
착륙성능제한 (Landing Limitations) ; 운항기술기준 8.4.5.8 가. 비행기 : 항공운송사업자는 목적지 또는 교체비행장의 착륙접근로에서 모든 장애물을 회피하여 착륙공항의 이용가능 착륙거리 내에서 착륙이 가능하지 아니한 공항을 운항해서는 아니 되며, 목적지 또는 교체비행장 도착시의 비행기 중량이 비행기가 활주로 말단 상공 50피트 지점부터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거리 내에서 완전착륙정지 할 수 있지 않는 한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를 이륙시켜서는 아니된다. 1) 터빈엔진 비행기는 활주로 유효거리의 60퍼센트 이내 2) 왕복엔진 비행기는 활주로 유효거리의 70퍼센트 이내 2017. 7. 14.
신호 : 항공법 시행규칙 제190조의3, 별표 29 1. 무선통신 두절 시의 연락방법⓵ 빛총신호신호의 종류의미비행 중인 항공기지상에 있는 항공기차량·장비 및 사람연속되는 녹색착륙을 허가함이륙을 허가함통과하거나 진행할 것연속되는 붉은색다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고 계속 선회할 것정지할 것정지할 것깜박이는 녹색착륙을 준비할 것지상 이동을 허가함-깜박이는 붉은색비행장이 불안전하니 착륙하지 말 것사용 중인 착륙지역으로부터 벗어날 것활주로 또는 유도로에서 벗어날 것깜박이는 흰색착륙하여 계류장으로 갈 것 비행장 안의 출발지점으로 돌아갈 것 비행장 안의 출발지점으로 돌아갈 것⓶ 항공기의 응신 - 비행 중인 경우 가) 주간: 날개를 흔든다. 다만, 최종 선회구간(base leg) 또는 최종 접근구간(final leg)에 있는 항공기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나) .. 2017. 7. 14.
통신 : 항공법 시행규칙 제189조의2 1. 관제비행을 하는 항공기는 관할 항공교통관제기관과 공대지 양방향 무선통신을 유지하고 그 항공교통관제 기관의 음성통신을 경청하여야 한다.2. 제1항에 따른 무선통신을 유지할 수 없는 항공기(이하 "통신두절항공기"라 한다)는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 하는 교신절차에 따라야 하며, 관제비행장의 기동지역 또는 주변을 운항하는 항공기는 관제탑의 시각 신호에 따른 지시를 계속 주시하여야 한다.3. 통신두절항공기는 시계비행 기상상태인 경우에는 시계비행방식으로 비행을 계속하여 가장 가까운 착륙 가능한 비행장에 착륙한 후 도착 사실을 지체 없이 관할 항공교통관제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4. 통신두절항공기는 계기비행 기상상태이거나 제3항에 따른 비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비행하여야 한다.⓵ 항공교.. 2017. 7. 14.
수직분리축소공역 등에서의 항공기 운항 : 항공법 제69조의3 ① 공역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수직분리고도를 축소하여 운영하는 공역(이하 "수직분리축소공역"이라 한다) 또는 특정한 항행성능을 갖춘 항공기만 운항이 허용되는 공역(이하 "성능기반항행요구공역"이라 한다)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공역에서 항공기를 운항하려는 소유자등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수색ㆍ구조를 위하여 수직분리축소공역에서 운항하려는 경우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② 국토교통부장관이 제1항에 따른 승인을 하려는 경우에는 제74조의2에 따라 고시하는 운항기술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2017. 7. 14.
순항고도 : 항공법 시행규칙 제176조 항공기의 순항고도는 다음 각 호와 같다.1. 항공기가 관제구 또는 관제권을 비행하는 경우에는 항공교통관제기관이 지시하는 고도2. 제1호 외의 경우에는 별표 27 제1호에서 정한 고도방향종류29,000ft 미만 (500ft 분리)29,000ft 이상 (1,000ft 분리) 동계기1,000ft × 홀수배29,000ft + 4,000ft 배수시계1,000ft × 홀수배 + 500ft30,000ft + 4,000ft 배수서계기1,000ft × 짝수배31,000ft + 4,000ft 배수시계1,000ft × 짝수배 + 500ft32,000ft + 4,000ft 배수※ 순항고도 - 계기비행 : 지표/수면으로부터 300m (1,000ft) 이상 - 시계비행 : 지표/수면으로부터 900m (3,000ft) 이상3. 제.. 2017. 7. 14.
최저안전고도 1. 시계비행 - 사람/건물 밀집지역 : 항공기 중심 600m (2000‘) 범위, 가장 높은 장애물 + 300m (1000') - 비밀집지역 : 지상/물건 상단 + 150m (500')2. 계기비행 - 산악지역 : 항공기 중심 8km (4NM), 장애물 + 600m (2000') - 비산악지역 : 항공기 중심 8km (4NM), 장애물 + 300m (1000')→ Mountainous Area (ICAO) : 10NM의 거리 내에서 지형 표고의 변화가 3000ft (900m)를 초과하는 변 화가 많은 지형 단면의 지역※ 시계비행 조건 : 1000', 3SM (항공법, JEPPESEN) / 1500', 3SM (AIM)※ 최저고도 (AIM)이륙 or 착륙을 위해 필요한 경우 및 관계 당국 허가 받은 경우.. 2017.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