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뇌우를 피하는 방법
⓵ 접근하는 뇌우를 맞대고 착륙하거나 이륙하지 말 것
⓶ 건너편을 볼 수 있다 할지라도 뇌우 아래를 비행하려하지 말 것
⓷ 구름 속을 기상레이다 없이 비행하지 말 것
⓸ 뇌우 속에 있는 믿을만하다고 할 수 있는 요란표시 시각현상을 믿지 말 것
⓹ SEVERE 이거나 ECHO의 강도로 식별된 어느 뇌우일지라도 20마일 이상 회피할 것
⓺ 구름위의 풍속 매 10KTS 당 1000FT 고도이상으로 심한 뇌우 꼭대기를 비켜갈 것
⓻ 비행구역의 6/10을 뇌우가 덮여 있다면 전 구간을 회피
⓼ 선명하고도 자주 있는 번개가 의미하는 것은 심한 뇌우일 가능성이 있음을 명시
⓽ 꼭대기가 35,000FT 이거나 더 높은 것을 눈으로 보았거나 레이다로 탐지된 뇌우는 아주
위험한 것으로 간주
2. 뇌우를 피하지 못하고 통과시 준비사항
⓵ 안전벨트를 꼭 조일 것
⓶ 최소 시간으로 뇌우구역을 통과하도록 침로계획
⓷ 빙결고도 이하이거나, -15‘이상의 고도를 잡아서 가장 위험한 착빙회피
⓸ PITOT HEAT ON, 방빙장치 ON
⓹ 비행규정에 맞는 요란기류 속도 준수 (출력 SETTING)
⓺ 내부등 ON
⓻ AUTOPILOT S/W OFF
⓼ 기상레이더를 위아래로 움직여 다른 뇌우 확인
3. 뇌우 통과 중
⓵ 계기 CROSS CHECK
⓶ 출력변경 금지 (BELOW VA)
⓷ 일정한 자세 유지 (일정한 고도 유지 금지 → 항공기 피로 증가)
⓸ 뇌우 속에 들어갔다면 돌아가지 말 것.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AIP (ENR 1.7) (0) | 2017.07.17 |
---|---|
고도계 수정 절차 (AIM, AIP) (0) | 2017.07.17 |
MICROBURST (순간돌풍) (0) | 2017.07.17 |
착빙(Icing) (0) | 2017.07.17 |
Visibility : 대기의 투명도를 거리로 나타낸 것, 눈으로 볼 수 있는 최대 거리 (0) | 2017.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