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irport Rotating Beacon (분당 12~30회)
⓵ 주간 운용 기준 : 지상시정 3마일 이하 and/or 실링 1000′ 이하인 경우
- 이•착륙 및 장주 비행시 ATC 인가가 요구된다.
- 단지 Beacon Light에 의해 IMC/VMC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
⓶ 색깔과 조합
- 백색/녹색: 육상비행장 (민-녹•백, 군-녹•백•백)
- 백색/황색: 수상비행장
- 백색/녹색/황색: Heliport → 황색은 위로 비춰짐
⓷ 설치 각도 : 1~10° (최대 효과)
2. Runway Edge Light
⓵ 간격/색깔 : 200' 이하 일정한 간격의 백색등 (고광도, 중광도, 저광도)
- 최종 2000‘ or 활주로 1/2 거리 중 짧은 거리내의 백색등은 항공 황색등으로 대치
- 저광도 활주로등은 광도 조절 불가능 (광도 고정)
⓶ Displaced Threshold일 경우, 활주로 시작과 Displaced Threshold 사이의 Light는 접근 방향에서 적색을 보여준다.
3. Threshold Light : 활주로 테두리등의 활주로 끝을 표시하는 등화
⓵ 활주로 시단등 (녹색등) : 착륙하는 항공기 기준 활주로 밖을 향하여 설치
⓶ 활주로 종단등 (적색등) : 이륙/출발하는 항공기 기준 활주로를 향하여 설치
4. 활주로 말단 식별등 (REIL : Runway End Identifier Light)
⓵ 목적 : 진입방향의 활주로 끝을 신속히 식별하기 위해 설치
⓶ 설치 : 활주로 말단 양쪽 10m 지점에 설치된 백색의 동시 점멸등 (60~120회/분)
⓷ 특징
- 활주로 진입방향에서만 보이도록 하고 (10° up, 좌우 15°)
- 단, 말단 식별등이 선회 안내를 제공시 모든 방향에서 보이도록 한다.
5. 활주로 내부등
⓵ 활주로 중심선등 (Runway Centerline Light)
- 착륙 활주로 끝으로부터 75‘ 지점 ~ 반대편 말단 75’까지 (50‘ 간격)으로 설치
- 활주로 끝 (말단) 최종 3000‘까지 : 백색등 (항공법 : 900m)
활주로 3000‘ ~ 1000’ : 가변백색과 적색등 교대 (항공법 : 900 ~ 300m)
마지막 1000‘ 이후 : 전부 적색등 (항공법 : 300m 이후)
⓶ 접지대등 (Touchdown Zone Light)
- 활주로 끝부터 100‘ 지점 ~ 3000’ or 활주로 1/2 지점 중 짧은 거리까지
- 접지대 내에 있는 RWY 중심선 좌우측 양측에 평면으로 비치는 2열의 백색등 (CAT∥이상)
⓷ 활주로 개방 유도등 (Taxiway Turnoff Light)
- 활주로 centerline으로부터 유도로까지 곡선의 녹색등, 50‘ 간격
6. 유도로등
⓵ 유도로등 (Taxiway Edge Light) : 유도로 양면 200‘ 이하 일정한 간격의 청색등
⓶ 유도로중심선등 (Taxiway Center Light) : 100' 간격의 녹색등
※ clearance bar light
낮은 시정 조건하에서 유도로상의 대기위치 (holding position)를 명확히 식별하기 위해서 3개의 지속 황색등으로 구성
→ Clearance bar lights are installed at holding positions on taxiways in order to increase the distinction of the holding position in low-visibility conditions. Clearance bars consist of three in-pavement steady-burning yellow lights.
※ Stop bars = Red Bar Light
350m 미만 또는 350m에서 550m의 RVR 조건에서 활주로를 사용하려 할 때 Runway Holding Position마다 제공
→ Traffic이 Stop하기를 원하는 곳에 유도로를 가로질러 위치
→ 교차점 또는 Runway Holding Position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적색을 보이는 유도로를 가로질러 일정한 간격을 둔 light들로 구성
7. 활주로경계등 (Runway Guard Lights)
⓵ 설치 조건 및 목적 (AIM)
- 활주로나 유도로의 교차로에 설치
- 저 시정 하에 유도로나 활주로의 교차 구간의 분별력 향상, 모든 기상 조건에서 사용됨
⓶ 설치 조건 (ICAO)
- RVR 조건 550m 미만
- Stop Bar가 설치되지 않는 곳
- RVR 조건 550m ~ 1200m
- 교통 밀도가 중간이거나 낮은 곳
⓷ 종류
- 활주로 대기 지점에서 유도로 한쪽 끝에 설치된 한 쌍의 점멸하는 노란색 등화
- 활주로 대기 지점에서 유도로 전체를 가로지르는 한 줄의 in-pavement된 노란색 등화
8. 접근등화 (Approach Light System)
⓵ 목적 : 계기비행방식에서 시계비행방식으로 전환
- 정밀계기접근 활주로 : 활주로 끝에서부터 2400‘ ~ 3000’
- 비정밀계기접근 활주로 : 활주로 끝에서부터 1400‘ ~ 1500’
⓶ ALSF-1 (CAT-1) : Sequenced Flashing Light를 가진 접근등
ALSF-2 (CAT-2) : Sequenced Flashing Light를 가진 접근등
+ RWY쪽 1000ft에 빨간색 가장자리등 (보다 정밀한 접근 가능)
8. 항공 장애등 및 주간 장애표식
공항 구역내의 각종 표면 안에 있는 구조물에는 항공 장애등 및 주간 장애 표식을 설치
9. VASI (Visual Approach Slope Indicator)
⓵ 주간 3 ~ 5마일, 야간 20마일 이상
⓶ 활주로 좌우 10° 범위 및 활주로 끝으로부터 4NM 범위 내 있는 장애물 안전고도 보장
⓷ HAT 500' 도달 시 까지만 정확성 보장, 최대 4.5도까지
※ HAT (Height Above Touchdown) : 접지구역 표고로부터 결심고도 (DH) 또는 MDA 까지의 높이 (직진입 착륙 최저치 용어로 사용)
⓸ Tri-color VASI
- 주간 약 1/2 ~1마일, 야간 5마일
- Below / On / Above Glide Path : 적색 / 녹색 / 황색
⓹ PULSATING VASI : 주간 4마일, 야간 10마일
• ABOVE GLIDE PATH : PULSATING WHITE
• ON GLIDE PATH : STEADY WHITE
• SLIGHTLY BELOW GLIDE PATH : STEADY RED
• BELOW GLIDE PATH : PULSATING RED
10. PAPI (Precision Approach Path Indicatior)
⓵ 주간 5마일, 야간 20마일
⓶ Touchdown 지점에 인접한 RWY 좌측에 4개의 WING BAR로 구성
⓷ HAT 200' 도달 시 까지만 정확성 보장
※ HAT (Height Above Touchdown) : 접지구역 표고로부터 결심고도 (DH) 또는 MDA 까지의 높이 (직진입 착륙 최저치 용어로 사용)
⓸ 활주로 좌우 10° 범위 및 활주로 끝으로부터 4NM 범위 내 있는 장애물 안전고도 보장
11. 조종사 제어 등화 시설 (PCL : Pilot Controlled Light)
⓵ 공중/지상에서 A/C의 마이크로폰을 누름으로써 등화를 작동/조절시킬 수 있는 등화체계
⓶ 등화지정시간 이후의 작동, 관제탑 또는 FSS가 없는 공항에서 작동 (활주로 숫자에 무관)
- 모든 등화 시설은 동일 무선주파수로 작동 조절
(CTAF : Common Traffic Advisory Frequency)
cf) CTAF
- 비관제 공항으로부터 또는 비관제 공항으로 비행하는 동안 공항조언업무를 수행하도록 지정된 주파수
- CTAF는 UNICOM, MULTICOM, FSS 또는 TWR 주파수가 될 수도 있다.
⓷ 모든 등화는 작동 시작부터 15분간 작동되며, 작동 시간 동안은 소등할 수 없음
- 단계 조절 : 3단계 (5초내 3번(저광도), 5번(중광동), 7번(고광도))
- 항상 최초에는 마이크 키를 5초 이내 7회 누르도록 권고
12. HSTIL (High Speed Taxiway turn-off Indicator Lights)
RETIL (Rapid Exit Taxiway Indicator Lights) - ICAO
⓵ 용도
- RVR 조건이 350m 미만
- Traffic이 많은 곳
⓶ 색상 : 고정된 단일 방향의 황색등
⓷ 설치 : Runway 중앙선 우측 2m 간격으로 설치
- 접근에서 착륙하는 방향으로 보일 수 있도록 설치
■ 항공기 등화사용
1. 위치등 : 일몰 ~ 일출
2. 충돌방지등 : 항상 ON (ENG ON)
- 악기상 상태에서 기장이 끄는 것이 안전에 유리하다고 판단할 때 제외
3. 착륙등 ON (권장)
- 1만 피트 이하 비행시, 공항 10마일 이내
- 저 시정, 해안, 호수, 쓰레기장 주변, 조류활동이 빈번한곳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VOR 점검 (0) | 2017.07.18 |
---|---|
VOR Standard Service Volume (SSV) (0) | 2017.07.18 |
Runway Markings (1) | 2017.07.18 |
공항표지 (Airport Sign) (0) | 2017.07.18 |
활주로 상태 (0) | 201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