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1 계기비행방식 등에 의한 비행·접근·착류 및 이륙
1. 계기방식으로 착륙하기 위한 기준 가. 해당 비행장에 설정된 계기접근절차를 따를 것 나. 기상상태가 착륙기상최저치 미만인 경우에는 DH보다 낮은 고도로 착륙접근 시도 금지 (다만, 다음 3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할 경우 제외) a. 정상적인 강하율에 따라 정상적인 방법으로 그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한 강하 위치에 있을 것 b. 비행 시정이 해당 계기접근절차에 규정된 시정 이상일 것 c. 다음 시각참조물 중 하나 이상이 확실히 식별 가능할 것(CATⅡ, Ⅲ종의 경우 제외) - 진입등시스템, 활주로시단, 활주로시단표지, 활주로시단등, 접지구역[표지], 접지구역등, 활주로시단식별등, 진입각지시등, 활주로 또는 활주로표지, 활주로등 다. CATⅡ, Ⅲ종 접근절차를 따라 비행시 인가된 DH보다 낮은 고도로 착륙접..
2018. 1. 16.
#28-1 순항 고도 (시행규칙 176)
구 분 29,000ft 미만 (500ft 분리) 29,000ft 이상 (1,000ft 분리) 동 (0~179) 계기 1,000ft × 홀수배 29,000ft + 4,000ft 배수 시계 1,000ft × 홀수배 + 500ft 30,000ft + 4,000ft 배수 서 (180~359) 계기 1,000ft × 짝수배 31,000ft + 4,000ft 배수 시계 1,000ft × 짝수배 + 500ft 32,000ft + 4,000ft 배수 ※ 시계비행 : 지표/수면으로부터 900m(3,000ft)이상, 계기비행 : 지표/수면으로부터 300m(1,000ft)이상 고도로 순항 시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고도로 비행하여야 한다. ※ 항공기가 관제구 또는 관제권을 비행하는 경우에는 항공교통관제기관이 지시하는 고도로 비행
2018. 1. 16.
#27-4 승무시간 (연속 24시간 동안 최대승무시간·비행근무시간 기준) (시행규칙 143)
운항승무원 편성 승무시간 비행근무시간 기장 1명 8 13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 8 13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 항공기관사 1명 12 15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 12 16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 13 17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 16 20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 항공기관사 2명 16 20 1. 승무시간: 항공기 탑승 후 항공기가 최초로 움직인 시각~최종적으로 항공기가 정지한 시각 2. 비행근무시간: 운항 승무원이 출근 후 1개~2개 구간 이상의 비행 종류 후 디브리핑 시각까지 비행준비시간, 승무시간, 지상 또는 기내 휴식시간을 포함한 총 시간 3. 연속되는 24시간 동안 12시간을 초과하여 승무할 경우 항공기에는 휴식시설이 ..
2018.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