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187 Ceiling : 항공기의 상승한계 - 잉여동력 (Excess Power) = Pa (이용마력) - Pr (필요마력) → 잉여동력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므로 상승률도 감소- 고도 증가 → 밀도 감소 → 양력 감소 → 추력 감소, 이용마력 감소1. 절대 상승한계 (Absolute Ceiling) : Pa = Pr, 상승률이 ‘0’2. 실용 상승한계 (Service Ceiling) : 상승률이 100FPM이 되는 고도3. 전투 상승한계 (운용 상승한계) : 상승률이 500FPM이 되는 고도 2017. 7. 6. Propeller A/C가 좌로 틀리는 요인 (작용 - 반작용 원리) 이착륙시 가장 심하게 나타나며, 수평비행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음Hi-AOA, Hi-PWR에서 현저함1. Torque의 반작용 - Propeller가 우로 회전하는 반작용으로 좌로 Rolling 현상 발생 - 이륙과 같이 저속/High RPM에서 크게 나타남 - 지상에서 이륙시 하중에 의한 L/H Main Gear의 마찰력 커짐2. 후류의 힘 (Spiral Slipstream) - Prop의 후류가 나선형으로 회전하여 동체를 돌아 수직안정판 좌측에 부딪혀 A/C를 좌로 틀어지게 함3. Asymmetrical Thrust (P-Factor) - Hi AOA를 위하여 기수를 들 때 Prop 좌우깃의 받음각 차이로 양력의 차 발생 - 내려가는 쪽 (우측)과 올라가는 쪽 (좌측) 블레이드가 접하는 공기량의 (내려.. 2017. 7. 6. V-G Diagram 속도 Vs와 하중계수와의 관계, A/C 작동제한치를 보여준다.→ 주어진 속도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G와 -G를 보여준다. 1. 실속은 외장과 무게에 따라 달라지지만 IAS와 관계가 있으므로 고도에 영향 없음2. Gust Line : 설계상의 중요한 고려사항⓵ 초당 15°, 30°의 상승 강하 Line을 통해 갑작스러운 Vertical Gust로 인해 A/C에 걸리는 Load Factor를 측정할 수 있다. - 총 하중 = Maneuvering Load Factor + Gust Factor※ 측풍 제한 : A/C 형식증명에서 Vso의 0.2 (20%)에 해당하는 90° 측풍 상태에서 안전한 조종 특성을 가지도록 요구 2017. 7. 6. 음속의 분류 1. 개념정리⓵ 충격파 (Shock Wave) : 물체의 속도 > 소리속도 - 물체가 속리의 속도보다 빠르게 날면 물체는 자신이 만든 압력파보다 앞서서 날기 때문에 압력파는 계속 쌓이게 되어 좁은 띠모양으로 된다.⓶ 마하원추 : 물체가 소리의 속도보다 빠를 경우 충격파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원추 - 마하각의 크기는 소리속도에 대한 속도비에 비례한다. 2. 분류아음속M .75 이하천음속M .75 ~ M 1.2초음속M 1.2 ~ M 5.0극초음속M 5.0 이상 3. 임계 마하수 (Critical Mach Number, MCR)날개위의 어떤 곳에서 공기흐름 속도가 음속과 같아지게 될 때의 Mach Number⓵ 실제 불어오는 공기의 흐름은 아음속인데 Airfoil의 주변 국부적인 곳에서 음속에 도달하게 될 때의.. 2017. 6. 6.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