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05 JET 엔진의 추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 대기온도 : 저온일수록 추력이 높다. - 대기온도 상승 → 밀도 감소 → 추력 감소 - 대기온도 강하 → 밀도 증가 → 추력 증가2. 비행고도 : 고도가 상승하면 대기온도와 대기압력이 감소 → 저온일수록 추력이 높다. - 대기온도 감소시 → 밀도 증가 → 추력 증가 - 대기압력 감소시 → 밀도 감소 → 추력 감소 → 대기온도 감소시 영향은 대기압력 감소시 받는 영향에 비해 적기 때문에 고도가 높아지 면 추력감소. 그러나 고도가 높아지면 항공기가 받는 저항이 감소하여 (대기압 저하로 인하여) 실제적으로 추력 향상3. 비행속도 : 고속일수록 추력이 높다. - 비행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는 RAM 효과 (엔진 흡입구에서 공기운동E가 압 력E로 변하는 것)에 의해 유입압력이 증가하므로 흡입공기 .. 2017. 6. 1. 고도의 종류 고도의 종류내 용절대 고도(Absolute Altitude)→AGL Altitude• 지구표면 위의 항공기 실제 높이 (지표면으로부터의 고도)• QFE : 이륙시 고도계 “0” set시 지시하는 고도 - 비행장표고 위의 높이로서 접지시 “0” 지시 (동일 공항 이/착륙, 단시간 비행시 적용)• VFR 비행시 AGL 고도는 언제 사용하는가? - 3000‘ 이하 비행시진고도/실제고도(True Altitude)→MSL Altitude• 평균해수면(MSL)으로부터의 실제고도 (해발고도, 해면고도) - 해수면 위 항공기의 수직거리• QNH → Local Altimeter Setting 시 지시 고도 - FE와 고도계 오차를 FT로 기억 - 고도계를 FE로 맞추고 그 후의 모든 ALT Setting시 지시기압 차이.. 2017. 6. 1. 속도의 정의 - V1 : T/O decision speed, Go/No Go Speed, Critical failure Speed • 인지시 A/C를 정지하거나 혹은 계획된 이륙거리 내에서 35‘까지 계속 이륙 가능- VR : Rotation Speed = 1.1 × VMU • 활주로 상공 35ft 도착 또는 V2를 얻기 위해 Nose Up하는 속도- VMU : Minimum Unstick Speed • 부양할 때 Minimum 속도- V2 : T/O Safety Speed = 1.2 VSO (2 Eng) / 1.3 VSO (3 Eng) • Single Engine으로 상승 가능한 속도 • One Engine Fail시 활주로 상공 35‘에서의 최소 상승속도- VA : Maneuvering Speed • 항공기 구조.. 2017. 6. 1. ■ V-Speed & Color Code 1. White : Flap Operating Range (VSO ~ VFE) ⓵ VSO : Landing configuration stall speed ⓶ VFE : Maximum speed with flaps extended 2. Green : Normal Operating Range (VS1 ~ VNO) ⓵ VS1 : Specific configuration stall speed ⓶ VNO : Maximum structural cruising speed 3. Yellow : Caution Range (VNO ~ VNE) 4. Red radial line : Never exceed speed (VNE) 5. Blue radial line : Best single-engine rate of climb .. 2017. 6. 1. 속도의 분류 (동압 = 전압 - 정압), ICETG/장압밀바 구분내용IAS (지시속도) Indicated Air Speed- 지시계기 속도 (공기의 직접적인 흐름속도)- 전압과 정압의 차, 온도/고도와 무관함- 항공기 성능 결정에 사용, 이/착륙시 사용 가능- Stall Speed 산출의 기준, AOA와 관계CAS (수정 속도)Calibrated Air Speed- IAS + 장착오차 + 계기(정압) 오차 수정EAS (대등 속도)Equivalent Air Speed- CAS + 압축오차 수정- SL(표준대기 상태)에서 CAS = EAS- 고속기의 경우 Pitot 앞에서 공기의 압축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 200kts 이상이면 “-”하여 계산 (계산판 “F” Factor 이용)- FL200, 200kts 이하에서는 무시됨- 항공기 강도에 대한 Warning 제공 :.. 2017. 6. 1. 사진 한장으로 움직이는 gif 만들어주는 사이트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사진 한장으로 움직이는 gif를 자동으로 만들어줍니다. http://poyopoyo.gifanimaker.com 2017. 5. 16. 속시원한 무기발사모음2(해군편) 속시원한 무기발사모음2(해군편) 함포부터 미사일, 대공발칸까지모든 해군무기를 팡팡 터뜨려준다한국해군과 무기체계의 환상캐미 2017. 4. 25. 속시원한 무기발사모음1(해군편) 함포부터 미사일, 대공발칸까지 모든 해군무기를 팡팡 터뜨려준다 한국해군과 무기체계의 환상캐미 2017. 4. 25. 흑백사진 컬러로 자동 변환해주는 사이트 아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이미지를 드래그&드롭 하시면 자동으로 흑백사진을 컬러사진으로 변환해줍니다. 링크 http://hi.cs.waseda.ac.jp:8082/ 2017. 4. 23. gif 동영상 변환방법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gif 파일을 무료로 동영상으로 변환해주는 사이트가 나옵니다. 주소 : http://gif-2-mp4.com/ko/ 2017. 4. 18. 제6화 옥포해전-교과서에서 가르쳐주지않는 임진왜란 2017. 4. 9. BEW, SOW, ZFW, TW, TOW, LDW - 항공기의 Weight PLD: PayloadTTL FUEL: Total Trip FuelRSV: Reserve FuelB/F: Burn Off Fuel (항공기가 이륙하여 목적공항에 도착할때까지 소모되는 연료)W/B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항공기 자체 중량과 중심을 측정해야 하며 이를Weighing이라 한다 법적으로 매 3년마다 Weighing을 해야 한다Weighing하는 방법으로 Jacking Point에 Tare를 사용하고 전원을 연결하여Weighing Kit로 그 중량을 읽는다Jacking Point에 걸리는 중량을 곱하여 Moment를 계산하고 이런 방식으로 총Moment를 구한 다음 총 중량으로 나누면 C.G를 얻게 된다 1) BEW - Basic Empty Weight항공기를 직접 운용하는회사에서 운항에 필요한.. 2017. 3. 30. 항공기 기본조작법 - 요크(Yoke) 1 Yoke(조종간) 1) 조작법 Yoke는 앞뒤 방향으로 누르거나 당겨서 Pitching을 Control하고, 좌우로회전시켜서 Rolling을 Control할 수 있다. Yoke를 앞으로 push하면 pitch가-방향으로 내려가고, 뒤로 당기면 pitch가 +방향으로 올라간다. Yoke를 좌회전시키면 Roll이 들어가서 왼쪽으로 Bank가 지게 되고, 우회전시키면 오른쪽으로 Bank가 지게 된다.조작에 있어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은, Yoke의 좌우회전은 자동차 핸들의그것과 다르다는 것이다. 자동차 핸들의 경우 돌리는 만큼 자동차 운전방향이 비례해서 회전하게 되지만, Yoke의 경우는 좀 다르다. Yoke를 살짝만 회전시키고 기다리고 있어도 Roll이 계속 들어가서 Bank가 점점 커지게 된다.즉 회전의.. 2017. 3. 28. [전술분석] 제5화 탄금대전투 - 교과서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내용 2017. 3. 28. (임진왜란) 조선과 일본의 국력차이 - 교과서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내용 2017. 3. 28. ICAO Cold Temperature Error Table 날씨가 더우면 고도계가 실제보다 낮은 고도를 나타내고,날씨가 추으면 실제보다 높은 고도를 나타내게 됩니다. 이른바 "Cold Weather Altimeter Error"입니다. 추운지역(러시아, 캐나다 같은 지역)의 공항에 착륙하는 항공기들은이러한 고도계 오류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추운지역일수록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가 실제보다 높을 수 있어서고도계만 믿고 비행하다가 지면에 충돌할 위험이 있기때문입니다. 그래서 ICAO에서는 "ICAO Cold Temperature Error Table"을 제시하여고도계 오류를 권장하고 있습니다.해당 기온과 고도에서 표에 나타난 수치만큼 더 높이 비행하라는 의미입니다. 위의 표에서 Height Above Airport란 공항 FAF에서 Field Elevation을 뺀수.. 2017. 3. 14. OAT, SAT, TAT 항공기의 온도측정은 OAT, SAT, TAT 세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OAT(Outside Air Temperature) 먼저 OAT는 외부 대기온도를 측정한 것입니다. 주로 훈련용 소형항공기에서 사용됩니다. 제트항공기에서는 OAT 보단 SAT란 용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SAT(Static Air Temperature)는 OAT와 같은 의미로 통용됩니다. 빠르게 비행하는 제트항공기는 공기흐름에 대한 많은 저항을 받습니다. 온도를 측정하는 TAT Probe에도 공기흐름으로 인한 운동에너지와 마찰력때문에 SAT보다 높은 온도가 측정되는데요. 그래서 나온 개념이 TAT(Total Air Temperature)입니다 일반적으로 확인해보면 비행중에 TAT가 SAT보다 30정도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 2017. 3. 14. NADP1, NADP2 (ICAO DOC 8168 VOL I. Appendix ) NADP 1: 출항 시 활주로로부터 인접한 소음민감지역 (Noise Sensitive Areas) 의 소음감소를 목적으로 제정 절차 :▶ Takeoff•Takeoff Thrust•Maintain a Climb Speed of V2+10 to 20kts▶ At 800feet AFE (Airport Field Elevation)•Reduce to Climb Thrust•Maintain a Climb Speed of V2+10 to 20kts•NADP-A의 경우 800ft가 아니라 1500ft까지임▶ At 3000feet AFE (Airport Field Elevation)•Accelerate Smoothly to Enroute Climb Speed and Maintain Positive Rate of Cli.. 2017. 3. 14. 이전 1 ··· 46 47 48 49 50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