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

Ground Effect

by 하늘이_ 2017. 7. 6.

지표면 가까이에서 비행시 지면이 일반적인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유도항력을 감소시킬 때 나타남 (이륙시, 접지 직전)

- 유도항력 : 날개의 수직적 양력 Vector가 상대풍에 의해 직각으로 작용하고, 이는 중력에 반대되는 수직방향과 차이가 있는 데, 이 때 발생되는 항력임

- 지면 가까이 비행하여 날개의 Down Wash와 Wingtip Vortex가 지면에 부딪치면서 상대풍의 각도를 평평하게 함으로써 양력의 수직 Vector가 줄어들어 유도항력이 감소된다.

→ 이러한 유도항력의 감소는 보다 낮은 영각과 추력감소를 요구한다.

- Ground Effect의 발생은 Wing Span과 같은 높이에서 발생하며 Wing Span의 1/2 고도에서

최대가 되어 Floating 현상이 발생하므로 착륙시 당김 조작은 1/2고도 이하에서 자세를

만들어줘야 한다.

- Ground Effect는 가로/세로비가 적을수록 영향이 크고, Low Wing이 Hi Wing보다 크다.

저속에서는 유해항력보다 유도항력의 영향이 크므로 전체 항력이 감소하여 요구추력이 줄어 듬

- T/O시 Ground Effect 영역을 벗어날 경우

동일 양력계수를 유지하기 위해 → 받음각을 증가시킴

유도항력이 증가됨 → 필요추력이 증가

⓷ 항공모함 이륙시 어느 범위 벗어나면 유도항력이 발생되어 고도침하가 생김

(지상에서는 Airborne 이후 RWY에 Settle Back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