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M 한글번역 (완)/AIM 한글번역 4장79

4-3-2. 관제탑이 운영되는 공항(Airports with an Operating Control Tower) 가. 관제탑이 운영되고 있는 공항에서 비행할 때 조종사는 관제탑으로부터 별도의 허가가 없는 한, Class B, Class C, Class D 구역에서 비행중 관제탑과 상호무선교신 나. 어떤 VOR 음성채널은 녹음방송을 위해 사용된다. 즉 ATIS, HIWAS 등에 사용한 다. 이러한 서비스와 적정 주파수들은 Airport/Facility Directory에 수록되어 있다. 관제기관과 통신을 유지할 때, 조종사가 그 주파수를 바꾸려면 미리 관제사에게 통보해야 한다. (Two-Way Radio Contact)을 유지하여야 한다. 최초무선호출은 공항으로부터 약 15마일 밖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Class B, Class C, Class D 지역을 벗어나기 전에 타워주파수를 떠날만한 충분한 이유가 없는 한 교.. 2017. 11. 29.
4-3-3. 비관제공항의 가시 지시기(Visual Indicators at Uncontrolled Airports) 가. 관제탑이 없는 공항의 장주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Segmented Circle System이 설치되어 있다. 나. 그 시설은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선분원(Segment Circle) 지상에서나 공중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중심부에 다른 시스템요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2) 풍향지시기(Wind Direction Indicator) 풍향을 표시하기 위하여 운영활주로 근방에 원추형 풍향지시기(Wind Cone), 풍낭(풍낭;Wind Sock), T형 풍향지시기(Wind Tee)가 설치되어 있다. Wind Tee의 큰 부분(봉의 교차점)과 같이 Wind Tee는 착륙활주로를 지시하기 위해 수동으로 활주로에 일치되게 돌릴수도 있다. Wind C.. 2017. 11. 29.
4-3-4. 장주(Traffic Patterns) 대부분의 공항 및 군기지에서 프로펠러 항공기의 장주고도는 보통 지상 600피트로부터 최고 1,500피트까지로 되어 있다. 또한 군용터어보제트기의 장주고도는 최고 2,500피트까지 될 때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항법비행을 하는 조종사는 장주에 있는 다른 항공기를 계속 경계해야 하고, 가능하면 그 구역을 피해야 한다. 조종사가 구름으로부터의 거리를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를 제외하고 장주고도는 유지되어야 한다(Far 91.155). 2017. 11. 29.
4-3-5. 공항장주에서의 비예상 조작(Unexpected Maneuvers in the Airport Traffic Pattern) 관제공항 주변에서 여러 사고가 있었는데, 그 원인은 주로 항공기가 의외의 조작을 했기 때문이었다. 공항교통관제업무는 항공기를 포착하였거나, 또는 공항 사정에 따라 제공되는 것이 원칙이다. 관제사는 입출항하는 항공기의 적당한 간격분리를 할 필요가 있을 때, 항공기로 하여금 적절한 비행조작을 하게한다. 이러한 조절은 포착된 항공기, 조종사의 정확한 보고 및 항공기의 예상조작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조종사가 협조를 함으로써 항공교통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장주 혼잡을 없앨 수 있다. 항공기의 기장은 항공기 조종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과 최종권한이 부여되어 있다. 조종사는 다른 항공기의 뒤를 따르도록 순위가 결정되었을 때, 다른 항공기와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항공기를 조작할 필요가 있.. 2017.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