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M 한글번역 (완)/AIM 한글번역 4장

4-3-3. 비관제공항의 가시 지시기(Visual Indicators at Uncontrolled Airports)

by 하늘이_ 2017. 11. 29.

가. 관제탑이 없는 공항의 장주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Segmented Circle System이 설치되어 있다.

나. 그 시설은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선분원(Segment Circle)

지상에서나 공중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중심부에 다른 시스템요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2) 풍향지시기(Wind Direction Indicator)

풍향을 표시하기 위하여 운영활주로 근방에 원추형 풍향지시기(Wind Cone), 풍낭(풍낭;Wind Sock), T형 풍향지시기(Wind Tee)가 설치되어 있다. Wind Tee의 큰 부분(봉의 교차점)과 같이 Wind Tee는 착륙활주로를 지시하기 위해 수동으로 활주로에 일치되게 돌릴수도 있다. Wind Cone 및 Wind Sock의 넓은 끝이 바람이 불어오는 쪽을 지시한다.

이들 지시장치는 선분원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고, 야간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등화시설을 할 수도 있다.

조종사는 이착륙방향을 지시하는 사면체(Tetrahedron)를 풍향지시하는 것으로 착각해서는 안된다.

(3) 착륙방향 지시기(Landing Direction Indicator)

사면체(Tetrahedron)는 공항의 상태가 그것을 사용하기에 적합할 때 설치하며, 그것은 착륙과 이륙방향을 지시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사면체는 선분원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야간비행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등화시설을 할 수도 있다. 사면체의 좁은 쪽이 착륙방향을 지시한다.

조종사는 사면체를 착륙방향 지시장치로써만 사용하여야지 다른 목적으로 활용하여서는 안된다. 조종사는 사면체가 약한 바람의 조건에서는 활주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활주로의 선택시 매우 많은 주의를 요한다. 그리고 관제탑을 운영하고 있는 공항에서 이 사면체는 무시되며 관제탑이 운영되지 않을 때는 참조물로 이용된다. 관제탑의 지시는 사면체의 방향지시보다 우선한다.

(4) 착륙활주로 지시기(landing Strip Indicators)

선분원의 그림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착륙활주로와 평행이다.

(5) 장주방향 지시기(Traffic Pattern Indicators)

착륙활주로 지시기와 함께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정상적인 좌측장주와 상이할 때 선회방향을 지시한다. (공항에 선분원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장주지시 장치는 활주로 끝에다 혹은 근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다. 관제탑이 없는 공항에 착륙하려 할 때, 또는 관제탑을 운영하고 있지 않은 공항에 착륙하려 할 때, 조종사는 착륙접근 활주로 말단에 있는 지시장치로써 활주로 방향을 판단해야 한다.

착륙진입을 할 때, 모든 선회는 좌측으로 해야 한다. 그러나 등화신호 또는 장주방향지

시기가 우선회를 해야 한다고 지시되어 있을 때는 예외이다. 만일 조종사가 사용 활주로에 있는 방향지시기를 마음속으로 확대시키면, 비행할 장주의 Base Leg 및 Final Approach

Leg는 즉시 명확하게 된다. 또한 이륙활주로 말단에 있는 지시기를 같은 방향으로 확대시키면, 이륙 후 선회방향이 명확하게 표시될 것이다.

마. 2대 이상의 항공기가 착륙하기 위하여 공항으로 접근하고 있을 때, 저고도에 있는 항공기가 우선권이 있으나, 그렇다고 해서 착륙하기 위하여 최종접근로상에 있는 다른 항공기의 전방에 끼어들거나, 또는 추월해서도 안된다(FAR Part 91.113(f)).

1. 장주고도로 활주로 중심지점에 Abeam으로 수평비행하면서 진입하라 (별도의 지시사항이 없는 한 1000피트 AGL이 권장되는 장주고도이다)

2. Downwind Leg상에서 착륙활주로의 접근시작지점에 Abeam될 때 까지 장주고도를 유지하라.

3. 활주로로부터 최소한 1/4마일이 될 수 있도록 최종접근선회를 완료하라.

4. 이륙활주로 끝을 통과할 때까지 직진을 계속하라.

5. 장주에 머무를 경우 이륙활주로 끝을 지나고 장주고도의 300피트 이내에 도달했을 때 측풍경로로 선회를 시작하라.

6. 장주를 떠날 때는 이륙활주로 끝을 지나 장주고도에 도달한 후 직진을 계속하거나 45도(좌측장주 사용시는 좌로)로 나가라.

7. 최종접근선회를 Over Shoot하지 말고 평행활주로의 최종접근경로상에 있어서는 안된다.

8. 평행활주로의 출항경로상에 있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