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5

8-1-7. 곡기비행(Aerobatic Flight) 가. 곡기비행을 계획하는 조종사들은 곡기비행 중에 가속적인 힘(Accelerative Forces)과 연관된 생리학적 긴장감(Physiological Stress)에 대하 알고 있어야 한다. 곡기비행예정인 많은 피교육자들은 대단히 열정적으로 교육에 임하게 되지만, 그들은 아주 불편하고도 예기치 못한 “중력적인 힘(G Forces)”을 최초로 체험하게 된다. 잠정적인 역효과(Potential Adverse Effects)를 피하거나 최소화시키기 위해, 곡예비행하는 교관 및 학생은 생리학적인 G Force의 적응에 대해 기초적인 이해를 해야만 한다. 나. 급속한 Push-Over 기동시에 받는 힘으로 인하여 혈액 및 신체기관을 발끝쪽에서 머리쪽으로 이동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얼마나 큰 G Force를 받았.. 2017. 12. 19.
8-1-8. 충돌방지를 위한 진로의 판단(Judgment Aspects of Collision Avoidance) 가. 개요 (1) 가장 중요한 시선 및 타항공기에 대한 스캐닝 기술(Scanning Technique)은 앞에서 다룬 Paragraph 8-1-6을 보기 바란다. 조종사는 또한 공중충돌 방지를 위해 다음의 정보들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나. 상대고도의 결정(Determining Relative Altitude) (1) 참조점으로서 수평선을 이용한다. 만일 다른 항공기가 수평선 위쪽에 있다면, 그 비행기는 아마도 보다 높은 비행경로상에 있는 것이다. 수평선 아래쪽이라면, 보다 낮은 비행고도상에 있을 것이다. 다. 적절한 조치(Taking Appropriate Action) (1) 조종사는 우선권(Right-of-Way)에 대한 규칙에 익숙해져야만 한다. 그래서 항공기가 명백한 충돌 경로상에 처했을 경우 .. 2017. 12. 19.
제7장 비행안전(Safety of Flight) 제목 2017. 12. 19.
제1절 기상학(Meteorology) 제목 2017.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