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5

ATC 용어집 (a) 1. ABEAM- An aircraft is "abeam" a fix, point, or object when that fix, point, or object is approximately 90 degrees to the right or left of the aircraft track. Abeam indicates a general position rather than a precise point. 활용) 조종사가 Position reporting시 비행기의 정면을 12시 방향으로 놓았을 때 3, 9시 방향이 Right, Left Abeam position e.g. abeam 천안 Tip) 조종사가 Position reporting시 사용하는 말 특정지점을 이야기하면 관제사가 쉽게 알아 들을 수 있다. .. 2017. 12. 21.
10-1-1. 헬리콥터 비행 컨트롤 시스템(helicopter flight control systems) 가.IFR상황 하에서 헬리콥터 운영을 위한 요구조건은 14 CFR part 27(airworthiness standards: normal category rotorcraft), 14 CFR part 29(airworthiness standards: transport category rotorcraft)에 수록되어 있다. 이들 요구조건들을 충족하기 위하여 헬리콥터 제작사들은 세트로된 안정화 장비(a set of stabilization) 그리고/혹은 AFCSs (automatic flight control systems)를 항상 이용한다. 나. 대부분의 이들 시스템들은 다음과 같은 종류들로 구분해 볼 수 있다. (1) 기본적인 VFR 항공기 형태(basic VFR configuration)에서 찾아 볼 수.. 2017. 12. 21.
10-1-2. 헬리콥터 계기 접근(helicopter instrument approaches) 가. 헬리콥터에 적절한 장비를 장착한 상태에서 다음의 제한사항들과 조건들을 수행하면서 제정된 14 CFR Part 97 , standard instrument approach procedures를 수행할 수 있다. (1) conventional(non-copter)SIAPs를 수행하는 헬리콥터는 MDA/DA가 줄지 않는 범위에서 visibility minima를 published category A landing visibility minima의 1/2 혹은 1/4 statue mile/1200 RVR중에서 큰 수치까지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것들에 대한 참고는 14 CFR section 97.3, symbols and terms used in procedures , (d-1)를 참고하면 될 것이다. 헬.. 2017. 12. 21.
10-1-3. 헬리콥터 포인트 인 스페이스 접근절차[helicopter point-in-space (pinS) approach procedures] 가. PinS 비정밀 접근은 일반적으로 헬리포트가 실패접근지점에서 2 마일, 600피트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혹은 IFR 헬리포트를 위한 설계표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헬리포트를 위해 개발되었다. 헬리콥터 PinS 접근은 GPS를 포함하여 지역항법 시스템 혹은 통상적인 NAVAIDs로부터 개발 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들은 착륙지역과 실패접근지점사이에 visual segment를 포함한다. PinS 접근과 관련하여, 두 가지 형태의 주의할 사항이 있다. (1) 실패접근지점으로부터 10마일, 500피트의 위치일 경우 : " PROCEED VISUALLY FROM ( NAMED MAP ) OR CONDUCT THE SPECIFIED MISSED APPROACH " (가) 이러한 문구는 조종사가 실패접근 지점에 .. 2017.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