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5

급선회(steep turn) 급선회시 수평유지 안 되는 이유 : 양력의 수직성분의 감소로 인해→ L = 1/2рV2CLS에서 1/2은 밀도와 관련이 있으며, 뱅크시 양력이 줄어드는 이유는 수직성분의 S가 감소하기 때문cf) 수평선회 : 양력 (L)의 수직성분 (Lcosθ) = 항공기에 작용하는 중력 (W)→ Bank가 깊어지면 같은 양력의 수직성분을 얻기 위해서는 양력을 중가해야 함. 따라서 수평선회를 유지하기 위해 받음각의 증가, 추진력의 증가가 필요 2017. 7. 6.
Wake Turbulence 1. 대기를 지나가는 A/C의 통로에서 야기되는 현상- 날개 상하부의 압력차로 공기는 Wing Tip쪽으로 흘러 Vortex를 야기- 위험한 Wake Turbulence는 특히 이착륙 단계의 저속, high AOA, 대형 및 중형 A/C, Clean 외장에서 발생. → 기체손상 및 조종능력 상실 야기- Vortex는 약 400 ~ 500 fpm으로 강하 및 비행경로 하부 약 900ft 거리에서 수평이 된다.- 무풍시 Vortex는 지면에 머무르려는 경향이 있고 약 2 ~ 3K 속도로 바깥쪽으로 이동 → 약 45° 배풍시 최대 위험2. 회피 절차- 대형 A/C 뒤에 착륙시 : 대형 항공기 Glide Path 위에 머무르고 접지점을 지나서 접지- 대형 A/C 이륙 후 이•착륙시 : 전방기 Rotation 지.. 2017. 7. 6.
Ground Effect 지표면 가까이에서 비행시 지면이 일반적인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유도항력을 감소시킬 때 나타남 (이륙시, 접지 직전)- 유도항력 : 날개의 수직적 양력 Vector가 상대풍에 의해 직각으로 작용하고, 이는 중력에 반대되는 수직방향과 차이가 있는 데, 이 때 발생되는 항력임- 지면 가까이 비행하여 날개의 Down Wash와 Wingtip Vortex가 지면에 부딪치면서 상대풍의 각도를 평평하게 함으로써 양력의 수직 Vector가 줄어들어 유도항력이 감소된다. → 이러한 유도항력의 감소는 보다 낮은 영각과 추력감소를 요구한다.- Ground Effect의 발생은 Wing Span과 같은 높이에서 발생하며 Wing Span의 1/2 고도에서 최대가 되어 Floating 현상이 발생하므로 착륙시 당김 조작은 1.. 2017. 7. 6.
T/O, L/D Distance 1. 이착륙 중 항공기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공기밀도, 온도, 지면풍 (바람), 활주로 표면 및 경사도, 항공기 무게2. 이착륙 거리⓵ T/O Distance : 쌍발 35ft 이상 상승시 까지의 거리 (3발 이상 50ft)⓶ L/D Distance : 10kts까지 Decrease 될 때까지의 거리로 RWY 길이의 60% (FAA), 70% (ICAO)에 충족되어야 함3. 정/배풍시 이착륙 거리 증감증감률 = (1±VWIND/VT/O)2, 정풍시 “-” / 배풍시 “+”ex) T/O Speed 100kts, Wind 10kts 일 경우 - 정풍 : (1-10/100)2 = 0.81 → 19% 감소 - 배풍 : (1+10/100)2 = 1.21 → 21% 증가 2017.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