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05 Wheel Barrow Effect (삼륜차 효과) 1. Tricycle type 항공기에 있어서 항공기의 무게가 전방에 더 많이 걸려 있어 이착륙시 주로 나타나며, 특히 측풍시 Nose Gear를 축으로 급격하게 기수가 틀어지는 현상2. 증상⓵ 방향유지 불안정⓶ 바퀴가 옆으로 미끄러져 Brake 압력을 가할 때 효과가 급격히 상실됨⓷ 착륙시 속도가 정상보다 많을 때 많이 발생3. 처치 : Nose를 Up하여 전방 및 Nose Gear의 무게를 덜어준다. 2017. 7. 6. 순항성능(cruise performance) 1. 최대거리 (max range speed) : 단위 연료당 진행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낼 수 있는 속도비행거리 (NM) / 연료량 = 속도 (KTS/HR) / 연료소모량 (LBS/HR)→ 양항비가 최대인 점 (DRAG 최소화) → 장거리 비행⓵ Prop : 연료소모율 최소, 추력효율 최대, 공기밀도와 무관⓶ Jet : 고고도에서 최대 항속성능. 공기밀도 작을수록 항속거리 증가, 형상항력이 유도항력의 3배일 때 최대 항속거리 얻어짐2. 최대 체공 (Max Endurance Speed) : 단위 연료당 비행할 수 있는 시간이 최대인 속도비행시간 / 연료량 = 1 / 연료소모량 (LBS/HR)→ 비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PWR가 최고인 속도→ 최대인 고도는 해면고도⓵ Prop : 탑재연료량 증가,.. 2017. 7. 6. Spin 1. 정의악화된 실속 현상으로 Stall에 의해 조종효과 상실 후 조작이나 외부의 영향으로 Yawing 모멘트가 발생하여 나선형태를 그리며 강하하는 현상완전한 실속 (full stall)이 발생한 상태에서 한쪽 (낮아진) 날개는 full stall 상태로 남고, 상향된 날개는 실속에서 회복되면서 약간의 양력을 발생할 때 진입→ 회전축을 중심으로 계속적인 rolling과 자동회전을 발생항공기가 Stall에 이르는 AOA를 가지면, 연료의 비대칭적인 적재나 조종사의 비대칭적인 조작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Rolling이 생긴다. 이후 Rolling에 의해 좌우 날개 양력의 불균형이 생겨 자동적으로 항공기는 Rolling과 Yawing을 하면서 나선형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2. 회복⓵ Throttle - Idl.. 2017. 7. 6. Stall 1. 정의최대양력을 받을 수 있는 AOA에서 각을 더 증가시킬 때 공기의 흐름이 날개에서 분리되어 그 부분의 압력이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양력이 감소하며 항력이 급증 현상즉, AOA이 증가하여 최대양력지점 (CLMAX)를 지나면 → 임계 받음각 (Critical angle of attack)2. 분류⓵ 유동력 실속 : 이륙과 출항 (or 상승) 외장과 관련⓶ 무동력 실속 : 접근 외장 상태에서 발생⓷ 직진 실속⓸ 선회 실속⓹ 가속 실속 : 급격하고 초과된 기동에 의해 야기. 과도한 Back Pressure 실속이라고도 함. - 급선회 또는 항공기의 급격한 변화를 포함하는 Pull Up과 같은 기동 중 발생⓺ 2차 실속 : 어떤 실속에서 부적절한 회복 조작 동안 발생. - AOA을 줄이기 전 그리고 충분.. 2017. 7. 6. 이전 1 ··· 207 208 209 210 211 212 213 ··· 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