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M 한글번역 (완)/AIM 한글번역 7장66

7-5-8. 다른 항공기의 비상공중점검(Emergency Airborne Inspection of Other Aircraft) 가. 비행중에 조언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항공기에 아주 가까이 접근할 수 있다. 대부분의 조종사는 이런 형태 방침의 형식적인 훈련 또는 지시를 거의 받지는 못하지만 있을 수 있다. 비상상황을 포함한 Stress와 연결되어진 계획은 충분한 시간없이 가까이 비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 나. 상황을 받아들이기에 가장 좋은 위치에 있는 조종사는 조화된 공중 Intercept와 점검에 책임을 지고 고유 비행 특성, 항공기 Category의 차이점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 안전 고려 사항은 (1) 지역(Area), 방향과 Intercept 속도; (2)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항공역학적인 효과(즉, 회전익 항공기 Downwash); (3) 최소안전분리 거리; (4) 통신요구사항들, Lost Communi.. 2017. 12. 9.
7-5-9. 강수정전기(Precipitation Static) 가. 강수정전기는 비행중 충전되지 않은 작은 입자들과 부딪치면서 일어난다. 이 입자들은 비, 눈, 안개, 진눈개비, 우박, 화산재, 먼지 어떤 고체나 액체도 될 수 있다. 항공기 와 중성입자가 부딪칠 때 입자의 양성 요소는 반사되고 음성입자는 항공기 표면에 붙게된다. 아주 짧은 시간에 상당한 음전기가 항공기 표면에 충전된다. 만일 항공기에 방전장치가 없거나 비효과적인 방전기 시스템을 가지고 있을 때, 충분한 Negative Voltage에 도달했을 때 항공기는 “CORONA” 상태로 될 수 있다. 이것은 정전기를 항공기의 말단 즉, 날개끝, 수평안정판, 수직안정판, 안테나, 프로펠러 끝 등에서 방출하는 것을 말한다. 이 정전기의 방출은 해드폰으로 들을 수 있으며 P-Static 이라고 부른다. 나. 조종.. 2017. 12. 9.
제6절 안전, 사고 및 위험보고(Safety, Accident and Hazard Reports) 제목글 2017. 12. 9.
7-6-1. 항공안전 보고계획(Aviation Safety Reporting Program) 가. FAA는 항공체제의 결함과 모순점에 관련된 정보의 자유롭고 제한없는 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자발적인 항공안전보고계획을 설정해 놓고 있다. 이것은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불안전한 상태를 미리 확인하고 수정함으로써, 항공계통에 최대한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적극적인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주목적은 현체제의 안전성과 효율을 평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수집에 있다. 나. 이 계획은 항공기의 출항‧항로비행‧접근 및 착륙 그리고 절차‧항공교통관제 절차‧조종사/관제사간의 무선통화‧공항에서의 항공기 운항‧발생할뻔한 공중충돌 등을 포함하는 항공기 안전운항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조종사, 관제사 및 항공기 취급기관이나 단체의 모든 구성원들은 그 지역에서 기록된 결함과 모순점에 관해 보.. 2017.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