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187

제빙•방빙장치 : 항공법 시행규칙 제135조 법 제41조제2항에 따라 결빙이 있거나 결빙이 예상되는 지역으로 운항하려는 항공기에는 결빙을 제거할 수 있는 제빙(De-icing)장치 또는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방빙(Anti-icing)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2017. 7. 14.
MEL (Minimum Equipment List) & CDL (Configration Deviation List) : 운항기술기준 9.1.18.7 최소장비목록(MEL) 및 외형변경목록(CDL)(Minimum Equipment List and Configuration Deviation List)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승무원, 정비사 및 운항통제업무를 부여받은 종사자가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항공당국의 인가를 받은 최소장비목록(이하 “MEL”이라 한다)을 제공하여야 한다.나. MEL은 항공기 형식별로 부작동하는 부품, 장비 또는 계기를 가지고 항공기를 출발시키거나 계속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상황과 제한사항 및 절차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 최대이륙중량 5,700킬로그램 이상의 항공기에 있어서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승무원, 정비사 및 운항통제 임무를 부여받은 종사자가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항공기 형식에 맞는 외형변경목.. 2017. 7. 14.
교체비행장 : 항공법 시행규칙 제188조, 운항기술기준 8.1.2, 8.1.9.10 및 8.1.9.11 1.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거나 항공운송사업을 제외한 국외비행에 사용되는 비행기를 운항하려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제187조의2제8호에 따른 교체비행장을 지정하여야 한다.⓵ 출발비행장의 기상상태가 비행장 운영 최저치(aerodrome operating minima) 이하이거나 그 밖의 다른 이유로 출발비행장으로 되돌아올 수 없는 경우: 이륙교체비행장(take-off alternate aerodrome) → 출발 비행장으로는 이용이 가능하지 않지만 이륙 후에 즉시 착륙이 필요하게 된 항공기가 착륙에 사용할 수 있는 대체 비행장 → 항공기가 출발한 공항⓶ 제204조의2제1항에 따른 쌍발비행기로서 1개의 발동기가 작동하지 아니할 때의 순항속도로 가장 가까운 공항까지 비행하여 착륙할 수 있는 시간이.. 2017. 7. 14.
사고예방장치 등 : 항공법 시행규칙 제135조의2 및 운항기술기준 8.1.8.17 1. 공중충돌경고장치 (ACAS, 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 ACAS Ⅱ) 1기 이상→ ICAO Annex 10 (Aeronautical Telecommunication, 항공통신)에서 정한 바에 따라 운용됨⓵ 항공운송에 사용되는 모든 비행기2. 지상접근경보장치 (GPWS,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1기 이상⓵ MTOW 15,000 kg 초과 또는 승객 30명 초과 수송할 수 있는 터빈발동기 장착한 항공운송사업에 사 용되는 비행기⓶ 다음 각 목에 대한 경고를 제공할 수 있을 것 - 과도한 강하율이 발생하는 경우 - 지형지물에 대한 과도한 접근율이 발생하는 경우 - 이륙 또는 복행 후 과도한 고도의 손실이 있는 경우 - 비행기가 다음.. 2017.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