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중충돌경고장치 (ACAS, 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 ACAS Ⅱ) 1기 이상
→ ICAO Annex 10 (Aeronautical Telecommunication, 항공통신)에서 정한 바에 따라 운용됨
⓵ 항공운송에 사용되는 모든 비행기
2. 지상접근경보장치 (GPWS,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1기 이상
⓵ MTOW 15,000 kg 초과 또는 승객 30명 초과 수송할 수 있는 터빈발동기 장착한 항공운송사업에 사 용되는 비행기
⓶ 다음 각 목에 대한 경고를 제공할 수 있을 것
- 과도한 강하율이 발생하는 경우
- 지형지물에 대한 과도한 접근율이 발생하는 경우
- 이륙 또는 복행 후 과도한 고도의 손실이 있는 경우
- 비행기가 다음의 착륙상태를 갖추지 아니한 상태에서 지형지물과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 착륙바퀴가 착륙위치로 고정 / 플랩의 착륙 위치
- 계기활공로 아래로의 과도한 강하가 이루어진 경우
3. 비행자료기록장치 (FDR, Flight Data Recorder) 및
조종실음성기록장치 (CVR, Cockpit Voice Recorder) 1기 이상
⓵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터빈발동기를 장착한 비행기
⓶ 운용
가. 기장은 비행기록장치가 장착된 항공기를 운항할 경우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기간동안 비행기록장치가 계속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단, 다음 각 호의 경우로서 최소장비목록(MEL)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1) 비행자료기록장치(FDR) : 항공기가 이륙활주를 시작한 시점부터 착륙활주를 종료한 시점까지
2)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 출발 전 점검표의 절차를 시작한 시점부터(또는 엔진이 작동해야만 CVR 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는 엔진 작동 시부터) 비행종료 후 모든 엔진을 정지하고 조종실을 떠나기 위한 엔진정지 등 점검표의 확인을 종료한 시점까지.
나. 기장은 사고 또는 준사고의 조사를 위하여 자료를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비행 중 비행자료기록장치 또는 조종실음성기록장치를 부작동되게 하거나 스위치를 끄거나 기록을 지워서는 아니된다.
4. 전방돌풍경고장치 1기 이상
⓵ MTOW 5,700 kg 초과 또는 승객 9명 초과 수송할 수 있는 터빈발동기 장착한 항공운송사업에 사 용되는 비행기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L (Minimum Equipment List) & CDL (Configration Deviation List) : 운항기술기준 9.1.18.7 (0) | 2017.07.14 |
---|---|
교체비행장 : 항공법 시행규칙 제188조, 운항기술기준 8.1.2, 8.1.9.10 및 8.1.9.11 (0) | 2017.07.14 |
법정 연료 : 항공법 시행규칙 [별표 23] 및 운항기술기준 8.1.9.13/20/21 (0) | 2017.07.14 |
감항증명 : 항공법 제15조 (0) | 2017.07.14 |
비행장의 설치기준 : 항공법 시행령 제16조 (0) | 2017.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