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03 A/C L'T 사용 1.1.1. 주/야간 ENG' 작동시 충돌방지등을 켜도록 권장 1.1.2. 이륙중이나 이륙허가를 받은 후 이륙 활주를 시작할 때 착륙등 ON 1.1.3. 10000'이하에서 주․야간(특히 야간) 1.1.4. 공항의 10마일 내에서 비행 할 때 1.1.5. 시정이 감소된 상태에서 비행시 2018. 1. 19. 항공기의 등불 1.1. 야간에는 충돌방지등(최대이륙중량 5천700킬로그램이상의 항공기에 한함)ㆍ우현등ㆍ좌현등 및 미등에 의하여 당해항공기의 위치를 나타내야 함 1.2. 야간에 사용되는 비행장에 정류 또는 정박시키는 경우에는 당해항공기의 우현등ㆍ좌현등과 미등에 의하여 항공기의 위치를 나타내야 함. 단, 비행장에 항공기를 조명하는 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018. 1. 19. 항공기의 연료 1.1. 연료기준 1.1.1. Reserve Fuel : Contingency, Alternate, Holding(30'), Extra 1.1.2. Company Reserve Fuel : PAD, Tankering 1.2. 세부내용 1.2.1. Trip Fuel -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소요 예상되는 연료량 1.2.2. Contingency Fuel - 우발상황 대비 출발지~목적기 연료의 10% 1.2.3. Alternate Fuel - 목적지~교체비행장까지의 연료 1.2.4. 30‘ Holding Fuel - 교체비행장 상공 1500’에서 체공연료 1.2.5. Extra Fuel - Contingency Fuel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때 더 싣는 연료 1.2.6. PAD Fuel - 출발공항에서 Re-.. 2018. 1. 19. Hypoxia(저산소증) & Hyperventilation(과다호흡증) 1.1. HYPOXIA : 신체내의 산소결핍으로 두뇌 및 신체기능저하를 초래 1.1.1. 종류 1.1.1.1. 저산소성 HYPOXIA : 호흡환경의 산소분압이 낮아 졌을 때(예, 고공에서 기압 저하로 산소분압이 낮아진 경우) 1.1.1.2. 빈혈성 HYPOXIA : 혈액 내에 헤모글로빈의 양이 저하된 경우 1.1.1.3. 조직 중독성 HYPOXIA : 조직이 중독될 경우 1.1.1.4. 정체성 HYPOXIA : 혈액 순환이 침체된 경우 1.1.2. 항공승무원의 경우 단시간에 급격한 고도상승시 저산소성 HYPOXIA로 사고 유발의 원인이 된다 1.1.3. 고도별 증상 1.1.3.1. 5M' : 야간 시력장애 시작 1.1.3.2. 12M' ~ 15M' : 두통, 졸음, 현기증, 판단력, 기억력, 주의력, 운.. 2018. 1. 19.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