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186 Interception Procedures (요격절차) 1. 관제기관에 의해 지시가 없으면 항공기 형태(Type)만 식별2. 요격단계⓵ 1단계 (접근단계) : 통상 2대가 후미에서 접근 (편대대형 Line Abreast)⓶ 2단계 (식별단계) - VMC 상황일 경우 육안접촉 예상 - 피요격기는 속도 감속⓷ 3단계 (요격 후 단계) : 요격 후 항공기 이탈 3. 피 요격 항공기 행동절차 - 요격 항공기에 의해 주어지는 지시에 따르고 수신호에 의해 설명, 응답 - 가능하면 해당 항공교통 업무기관에 통보 - 요격기 또는 해당 요격 통제기구와 243.0㎒/121.5㎒로 무선통화 → 가능하다면 그 항공기의 식별부호와 위치 및 비행 상태 통보 - Transponder Mode 3/A 7700set - 만약 어떤 기관으로부터 무선통화로 받은 지시가 요격기로부터의 지시와 .. 2017. 7. 29. Distress & Urgency 1. Distress : 재난에 조우한 항공기는 최초 교신 시 ‘MAYDAY'를 3회 반복한다. - 화재, 기계고장 또는 구조 파손 등2. Urgency : 긴급 상황에서는 ‘PAN-PAN' 신호를 사용한다. - 조종사가 자기의 위치에 관하여 애매할 때 - 연료량이 부족할지 의심스러울 때 - 기상상태가 애매할 때 (악기상) - 비행안전상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기타 상황일 때→ 바로 도움을 요청할 시기이지 재난 (Distress) 상태로 발전하고 난 후가 아님※ MAYDAY와 PANPAN의 차이점- MAYDAY : 즉각적인 조치요구 또는 절박한 위험의 심각성이 있는 상태. 모든 통신에 우선권이 있다.- PANPAN : 즉각적인 지원이 요구되지는 않지만 주요 탑승객 또는 시야에 있는 사람, 항공기, 그 밖의.. 2017. 7. 29. 엔진 배기가스색에 따른 문제점 1. 청색 : 오일 누유2. 흰색 : 수분 함유3. 흑색 : 불완전 연소 2017. 7. 29. 조종상태에서의 지상충돌 (CFIT :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조종사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행기가 지형 또는 수면을 향해 비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사고를 말하며, 비행기의 기계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는 제외한다. 2017. 7. 29. 이전 1 ··· 5 6 7 8 9 10 11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