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186

Transition Level / Altitude / Layer 1. Transition Level (QNE)Transition Altitude 위에서 이용 가능한 가장 낮은 Flight Level2. Transition Altitude(QNH)항공기 고도가 MSL 고도를 기준하여 관제되는 공항주변에서의 고도3. Transition Layer• Transition Altitude 와 Level 사이의 공역• Transition Layer를 통해 강하시는 QNH (국지 Station Pressure) Set하고 상승시 QNE (29.92inhg /1013.2hpa) Set 한다.※ 미국 (FL 180), 한국 (FL 140) → 공항이나 항로에서 비행방식 전환시 안전 Factor4. Transiton Height (QFE)공항 주위에서 A/C 수직 위치가 공항의 기준점.. 2017. 7. 21.
Noise Abatement Departure Procedure(NADP) 소음경감절차는 착륙중에 역추력 (Reverse Thrust)의 사용금지내용은 포함하지 않는다. (제한없이 사용 가능함)1. 항공법 시행규칙 제175조 : 특별한 절차없는 한 450m (1500')까지 신속히 상승2. NADP 1 : 비행장 가까운 지역의 소음완화개념- 규정된 최소고도 및 그 이상에서 Power를 감소시키고, 규정된 최고고도에 도달할 때까지 Flap/Slat Retraction을 지연하는 절차임- 규정된 최고고도에서 양의 상승률을 유지하면서 예정대로 Flap/Slat을 Retract하고 가속하 면서 정상항로 상승속도로 전환⓵ T/O ~ 800ft : T/O Thrust & Flap, V2 + 10 ~ 20kts⓶ 800ft : Reduce to Climb Thrust⓷ 800 ~ 3000f.. 2017. 7. 21.
Climb Requirements (One Engine Inoperative Conditions) 1. First Segment제1단계는 항공기가 부양해서 착륙장치인 Landing Gear의 Retraction을 완료할 시점까지이며, 속도는 VLOF에서 V2까지 가속한다.이 단계에서 최소 상승구배는 2발 엔진의 경우는 양의 값 (Positive)만 가지면 된다.2. Second Segment제2단계는 착륙장치의 Retraction 완료부터 최저 400 피트 이상의 고도에 달하기까지 상승하는 단계로 속도는 V2에 가까운 정속 상승임이 단계에서의 요구하는 상승구배에 의해 이륙중량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음(대부분의 상승성능 제한은 제2단계의 상승구배 충족에 원인이 있음) 3. Third Segment제3단계는 Flap을 접기 시작하여 완전히 Retraction 완료하는 단계로 속도는 Flaps Up 속도까지.. 2017. 7. 21.
Short Field Takeoff 1. 짧은 활주로나 출항경로에 장애물이 있을 때 필요2. 특히 이륙할 표면이 가속을 제한할 때 무게를 바퀴에서 날개로 옮기기 위함 - 눈, 고운 모래, 진흙, 풀 등의 거친 표면에서 이륙시3. 급한 Taxi Turn 후 즉시 이륙하지 말 것 : 연료 Tank의 Level이 안정 안 됨4. 부분적 추천된 Flap 사용 : 보통 Flap 은 Normal보다 더 많은 양 사용5. Brake Hold, Full PWR → Brake Release : 이륙 활주전 Engine 작동 check6. VX 도달 후 Pitch Up7. 장애물 회피 후 VY로 가속하고 Flap Up8. 안전한 상승률에 도달하고 남은 활주로에 안전착륙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 후 Landing Gear Up 안전기동고도 도달시 Climb p.. 2017.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