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187

TEC (TWR En-Route Control / 관제탑 항로 관제) 1. Terminal Area 사이의 짧은 저고도 항로 비행시에 허용 - 일반적으로 10,000‘이하에서 운항하는 비터보제트 항공기에 적용 (2시간 이내) - 다수의 공항지역, 단거리 비행시 사용 - 대도시 지역에서 입/출항 하는 A/C에게 업무 제공2. 한 공항의 출항 관제소부터 접근관제소로 이관3. FLT PLAN의 Remark란에 약어 “TEC” 기입 2017. 7. 21.
속도 조절 : 항공교통관제절차 제7절 나. 다음 항공기에게는 속도 조절을 지시하여서는 안 된다. 1) FL390 이상의 고도에서 조종사 동의가 없는 경우 2) 발간된 고고도 계기접근절차를 수행중인 항공기 3) 체공장주에 있는 항공기 4) 최종접근 진로상의 최종 접근픽스 또는 활주로로부터 5마일되는 지점 중 활주로로부터 가까운 지점에 있는 항공기 라. 접근허가는 앞서 발부한 모든 속도조절 지시의 취소를 의미 한다. 속도조절을 다시 언급하지 않는 경우, 조종사는 비행절차에 필요한 속도조절을 한다. 마. 10 노트(KTS) 단위의 지시대기속도(IAS)를 발부하여야 한다. FL240 이상에서 마하 속도(Mach Meter : 예를 든다면 0.69, 0.70, 0.71 등)로 비행하는 터보 제트항공기에 대하여는 마하 0.01 간격으로 지시할 수 있다.. 2017. 7. 21.
항로비행관련 1. 항로 내에서의 선회⓵ FLY-BY Waypoint : 다음 비행구간에서 Overshoot를 방지하기 위해 예상하여 선회 (Lead P'T를 잡고 선회)※ Turn Anticipation : A/C를 지정된 항로나 경로 경계선 안에 있도록 하기 위해 실제의 공역 Fix나 선회지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시작하는 선회기동⓶ FLY-OVER Waypoint : Waypoint 상공까지는 어떠한 선회도 할 수 없고, 그 상공을 지난 후 다음 비행구간으로 진입 실시2. 항법시설 상공 통과⓵ VOR 상공 : ‘TO/FROM' Indicator가 처음 완전히 바뀌었을 때의 시간⓶ ADF 상공 : ADF 지시침이 완전히 반대로 지시했을 때의 시간⓷ Marker 상공 : 맨 처음 받은 신호 ~ 신호 끝났을 때 시간의 평.. 2017. 7. 21.
COP (Change Over Point) 1. 개념VOR로 구성된 ATS 경로로 비행하는 항공기가 후방의 시설로부터 전방의 시설로 기본 항행목표를 전환해야 하는 지점 (주파수 변경 등)2. 항로비행시 대부분 항로 중앙지점에서 주파수를 변경하나 특별히 COP가 명시된 경우는 해 당지점에서 실시함 (명시되지 않은 경우는 항로중앙에서 실시)3. 목적⓵ 항법신호의 수신 보장하고,⓶ 다른 VOR Station과의 간섭을 방지하며,⓷ 동일지역에서 비행하는 모든 항공기들이 동일한 VOR을 사용함으로써 안전분리를 돕는다. 2017.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