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술면접자료73

경계층(Boundary Layer) ㅇ 물체 표면과의 마찰효과에 의해 공기흐름의 효과가 지연되는 층 ㅇ 경계층내 속도 : 점성효과로 인해 평판에 가까울수록 흐름이 지연되고, 멀수록 자유흐름 속도에 가깝게 된다. 2018. 2. 28.
상승비행의 종류 ㅇ Best Angle of Climb (Vx) : 단위 거리당 최대고도 획득 속도 -장애물이 있을 때 이를 신속히 피하기 위해 많이 사용. -고도를 신속히 취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속도는 상대적으로 감소 ㅇ Best Rate of Climb(VY) : 단위 시간당 최대고도 상승(경제성 목적) -양항비가 최고로 하는 속도이며, 상승속도는 VX 보다 크다 (5~10kts) ㅇ. Normal/Cruise Climb - 보통의 순항 상승속도로 상승하는 방법으로 시간당 고도 상승이 작은 반면 빠른 속도 유지 가능(진행거리가 증가) -이 속도는 많은 속도로 Engine 냉각 및 좋은 시야 확보 가능 -VY + 10~30kts 속도로 결정 2018. 2. 28.
Ceiling : 항공기의 상승한계 o잉여동력(Excess Power) = Pa(이용마력) - Pr(필요마력) - 잉여동력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므로 상승률도 감소 o고도 증가 →밀도감소 →양력감소 →추력감소, 이용마력 감소 o절대 상승한계(Absolute Ceiling) : PA = Pr, 상승률이 ‘0’ o 실용 상승한계(Service Ceiling) : 상승률이 100FPM이 되는 고도 o전투 상승한계(운용 상승한계) : 상승률이 500FPM이 되는 고도 2018. 2. 28.
Ground Effect - 지표면 가까이에서 비행시 지면이 일반적인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유도항력을 감소시킬 때 나타남(이륙시, 접지 직전) - 유도항력 : 날개의 수직적 양력 Vector가 상대풍에 의해 직각으로 작용하고, 이는 중력에 반대되는 수직방향과 차이가 있는데, 이때 발생되는 항력임 - 지면가까이 비행하여 날개의 DOWN WASH와 WINGTIP VORTEX가 지면에 부딪치면서 상대풍의 각도를 평평하게 함으로써 양력의 수직Vector가 줄어들어 유도항력이 감소된다 - 이러한 유도항력의 감소는 보다 낮은 영각과 추력감소를 요구한다. - GND Effect의 발생은 WING SPAN과 같은 높이에서 발생하며 WING SPAN의 1/2고도에서 최대가(현저하게 느낌) 되어 FLOATING현상이 발생 하므로 착륙시 당김 조.. 2018.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