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면접자료73 Propeller A/C가 좌로 틀리는 요인(작용-반작용 원리) - 이착륙시 가장 심하게 나타나며, 수평비행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음 - Hi-AoA, Hi-PWR에서 현저함 Torque의 반작용 - Propeller가 우로 회전하는 반작용으로 좌로 Rollig 현상 발생 - 이륙과 같이 저속/ HIGH RPM에서 크게 나타남 - 지상에서 이륙시 하중에 의한 L/H MAIN GEAR의 마찰력 커짐 후류의 힘(Spiral Slipstream) - PROP의 후류가 나선형으로 회전하여 동체를 돌아 수직안정판 좌측에 부딪혀 A/C를 좌로 틀어지게 함 Asymmetrical Thrust(P-Factor) - Hi AoA를 위하여 기수를 들 때 PROP 좌우깃의 받음각 차이로 양력의 차 발생. - 내려가는 쪽(우측)과 올라가는 쪽(좌측) 블레이드가 접하는 공기량의(내려가는 쪽이.. 2018. 1. 27. Critical Engine ㅇ ENG' FAIL시 A/C성능이나 CONTROL에 훨씬 안 좋은 영향을 주는 ENG' ㅇ 양발 프롭 A/C에서 L/H ENG' FAIL시 우측 ENG'에 의한 추력과 우측 ENG'자체의 좌로 틀리려는 경향 때문에 위험하게 된다 (추력의 중심이 동체중심선으로부터 훨씬 멀어 MOMENT가 커짐) 2018. 1. 27. T/O, L/D Distance ㅇ이착륙 중 항공기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공기밀도, 온도, 지면풍(바람), 활주로 표면 및 경사도, 항공기 무게 ㅇ이착륙 거리 T/O Distance : 쌍발 35ft 이상 상승시 까지의 거리(3발 이상 50ft) L/D Distance : 10kts까지 Decrease 될 때까지의 거리로 RWY 길이의 60% (FAA), 70%(ICAO)에 충족되어야 함. ㅇ정/배풍시 이착륙 거리 증감 정풍시 “-”, 배풍시 “+” ex) T/O Speed 100kts, Wind 10kts 일 경우 정풍 : (1-10/100)2 = 0.81 → 19% 감소 배풍 : (1+10/100)2 = 1.21 → 21% 증가 2018. 1. 26. V-G Diagram o 속도 Vs 하중계수와의 관계, A/C 작동제한치를 보여준다 →주어진 속도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G와 -G를 보여준다 o Vs1 : +1G에서 실속에 진입(외장 및 무게에 따라 달라지지만 고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음) → 실속은 IAS와 관계가 있으므로 고도에 영향 없음 o Gust Line : 설계상의 중요한 고려사항 초당 15°,30°의 상승 강하 Line을 통해 갑작스러운 Vertical Gust로 인해 A/C에 걸리는 Load Factor를 측정할 수 있다 → 총 하중 = Maneuvering Load Factor + Gust Factor ※ 측풍 제한 : A/C 형식증명에서 Vso의 0.2배(20%)에 해당하는 90°측풍 상태에서 안전한 조종특성을 가지도록 요구 2018. 1. 2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