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공항 교통관제탑은 무전기가 없는 항공기, 지상차량, 장비, 인원 등을 관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사용한다. 또한 무전기를 장착하고 있어도 상호교신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같은 절차를 적용한다.
공항교통관제사는 등화신호로서 항공기를 관제할 때, 설정된 색상(적색, 백색, 녹색)의 고광도 빛을 발사한다.
나. 교통관제 등화신호는 무전기가 없는 항공기를 관제하는 이점을 주지만, 조종사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
(1) 관제탑에서 조종사에게 신호를 발사하는 시간에 조종사가 관제탑을 보지 못할 수도 있다.
(2) 등화신호로서 신호하는 지시사항은 조종사의 비행조작을 인가하느냐, 또는 인가하지 않느냐만을 신호하기 때문에 대단히 한정되어 있다.
조종사의 주의를 요하는 신호로써 General Waring signal을 사용하는 것 외는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다. 일몰시간부터 일출시간까지 사이에서 조종사가 관제탑의 주의를 끌기를 원할 때, 착륙등(Landing Light)을 켠 후 활주로로 진입하고 또 사용활주로를 개방하여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관제탑이 착륙등을 볼 수 있다. 조종사는 관제탑으로부터 적절한 신호를 받을 때까지 착륙등을 켜고 있어야 한다.
라. 항공교통관제소의 빛총(Light Gun) 신호(표 4-3-1 참조)
마. 주간에 조종사는 보조익 또는 방향타를 움직여서 관제탑의 송신과 등화신호에 대한 응답을 한다. 야간에는 착륙등 또는 항행등 ((Navigation Light)을 점멸하여 응답한다. 주기장을 출발한 후 무전기가 고장났다면, 관제탑의 등화신호를 감시하여야 하고 또 관제탑 주파수를 감청하여야 한다.
'AIM 한글번역 (완) > AIM 한글번역 4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11. LAHSO를 수행할 때의 조종사 책임(Pilot Responsibilites when conducting Land and Hold Short Operation : LAHSO) (0) | 2017.10.29 |
---|---|
4-3-12. Low Approach (0) | 2017.10.29 |
4-3-14. 무선통신(Communications) (0) | 2017.10.29 |
4-3-15. 출항지연으로 인한 관문대기(Gate Holding Due to Departure Delays) (0) | 2017.10.29 |
4-3-16. 공항터미날지역에서의 VFR비행(VFR Flights in Terminal Areas) (0) | 2017.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