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3

V-G Diagram o 속도 Vs 하중계수와의 관계, A/C 작동제한치를 보여준다 →주어진 속도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G와 -G를 보여준다 o Vs1 : +1G에서 실속에 진입(외장 및 무게에 따라 달라지지만 고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음) → 실속은 IAS와 관계가 있으므로 고도에 영향 없음 o Gust Line : 설계상의 중요한 고려사항 초당 15°,30°의 상승 강하 Line을 통해 갑작스러운 Vertical Gust로 인해 A/C에 걸리는 Load Factor를 측정할 수 있다 → 총 하중 = Maneuvering Load Factor + Gust Factor ※ 측풍 제한 : A/C 형식증명에서 Vso의 0.2배(20%)에 해당하는 90°측풍 상태에서 안전한 조종특성을 가지도록 요구 2018. 1. 26.
속도의 정의 V1(T/O Decision Spd/ Go No Go Spd) 1.1.1.1. 인지시 A/C를 정지하거나 혹은 계획된 이륙거리 내에서 35‘까지 계속 이륙 가능 Vr(Rotation Speed) : 1.1 × VMU 활주로 상공 35ft 도착 또는 V2를 얻기 위해 Nose Up하는 속도 Vmu(Minimum Unstick Speed) : 부양할 때 Minimum 속도 V2(T/O Safety Speed) Single Engine으로 상승 가능한 속도 One Edgine Fail시 활주로 상공 35‘에서의 최소 상승속도임 Va(Maneuvering Speed) : 항공기 구조적 손상없이 최대/급격한 조작으로 안전하게 기동할 수 있는 최대 속도로 중량과 비례한다 이 속도이하에서는 Over 'G'를 걸 수 .. 2018. 1. 26.
음속의 분류 1.1. 개념정리 1.1.1. 표준 해면고도에서의 음속 : 1,116ft/sec (340 m/sec, 761 mph, 661 knot) 1.1.2. 충격파(Shock Wave) : 물체가 공기중에 움직일 경우 물체는 공기에 압력을 준다. 이 압력의 전달속도와 소리의 속도로 공기 중에 확산된다. 1.1.2.1. 물체의 속도 소리속도 : 즉, 물체가 소리의 속도보다 빠르게 날면 물체는 자신이 만든 압력파(pressure wave)보다 앞서서 날기 때문에 압력파는 계속 쌓이게 되어 좁은 띠모양으로 된다. 1.1.2.3. 이 압력의 좁은 띠를 충격파(shock wave)라고 한다. 1.1.3. 마하원추 : 물체가 소리의 .. 2018. 1. 26.
V-Speed & Color Code 1.1.1. White : Flap Operating Range (VSO ~ VFE ) 1.1.2. Green : Normal Operating Range 순항속도 1.1.3. Yellow : Caution Range 주의 속도 1.1.4. Red : Never Exceed Speed 운용한계, 초과금지 속도 1.1.5. Blue Dot : VYSE - Single ENG으로 상승할 수 있는 Rate of Climb Speed ※ A/C가 요란이나 돌풍이 많은 곳을 비행할 때는 설계된 기동속도(VA)이하로 비행해야 된다. 2018.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