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5

7-5-6. 수상비행기의 안전(Seaplane Safety) 가. 수상비행기 등급한정에서는 육상항공기 조종사에게 해당되지 않는 여러 가지 부분에 있어서의 평가(Access)가 필요하다. 수상비행기 등급한정증명은 비교적 까다롭지 않고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그러나 안전하고 효율적이고 유능한 장애물 통과 조종사(Bush Pilot)가 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위험은 사람에 의해서 유발되어 진다. 북반구 고위도지방을 제외한 해상은 더 이상 조종사들에게 있어서 배타적인 영역이 아니다. 수상비행기 조종사들은 전선줄이나 선박, 수상스키어, 수영하는 사람 등의 위험요소로부터 항상 경계해야만 한다. 나. 수상비행기 조종사들은 항공기와 보트간의 항행우선권에 대해서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수상비행기가 해상에 착륙했을 때는 선박으로서 취급되며 FAR.. 2017. 12. 9.
7-5-7. 화산재 속에서의 운항(Flight Operations in Volcanic Ash) 가. 큰 화산 폭발이 있은 후엔 방출된 상당량의 화산재로부터 고고도에 먼지 구름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먼지구름은 활화산 근처를 운항하는 항공기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 야간에 화산재구름 속을 비행하여 발생하는 사고는 주로 엔진에 심각한 영향을 받게됨으로써 발생되는데 엔진추력을 심하게 감소시키며 날개 앞쪽면을 따라서 다발엔진을 상하게 한다. 나. 조종사는 화산먼지구름 속을 비행하기 위해선 다음에 나오는 정보들을 인지해야 하고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해 교육되어져야 한다. 화산재구름을 수반한다고 확실히 알려진 화산활동지역으로의 비행은 피해야 한다. 이러한 정보는 조종사가 화산재구름을 관측 할 수 없는 밤이나 IFR 비행상태에서 특히 중요시 되어진다. 만약 화산활동이 보고되었다면 계획되어진 비행은 화산활.. 2017. 12. 9.
7-5-8. 다른 항공기의 비상공중점검(Emergency Airborne Inspection of Other Aircraft) 가. 비행중에 조언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항공기에 아주 가까이 접근할 수 있다. 대부분의 조종사는 이런 형태 방침의 형식적인 훈련 또는 지시를 거의 받지는 못하지만 있을 수 있다. 비상상황을 포함한 Stress와 연결되어진 계획은 충분한 시간없이 가까이 비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 나. 상황을 받아들이기에 가장 좋은 위치에 있는 조종사는 조화된 공중 Intercept와 점검에 책임을 지고 고유 비행 특성, 항공기 Category의 차이점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 안전 고려 사항은 (1) 지역(Area), 방향과 Intercept 속도; (2)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항공역학적인 효과(즉, 회전익 항공기 Downwash); (3) 최소안전분리 거리; (4) 통신요구사항들, Lost Communi.. 2017. 12. 9.
7-5-9. 강수정전기(Precipitation Static) 가. 강수정전기는 비행중 충전되지 않은 작은 입자들과 부딪치면서 일어난다. 이 입자들은 비, 눈, 안개, 진눈개비, 우박, 화산재, 먼지 어떤 고체나 액체도 될 수 있다. 항공기 와 중성입자가 부딪칠 때 입자의 양성 요소는 반사되고 음성입자는 항공기 표면에 붙게된다. 아주 짧은 시간에 상당한 음전기가 항공기 표면에 충전된다. 만일 항공기에 방전장치가 없거나 비효과적인 방전기 시스템을 가지고 있을 때, 충분한 Negative Voltage에 도달했을 때 항공기는 “CORONA” 상태로 될 수 있다. 이것은 정전기를 항공기의 말단 즉, 날개끝, 수평안정판, 수직안정판, 안테나, 프로펠러 끝 등에서 방출하는 것을 말한다. 이 정전기의 방출은 해드폰으로 들을 수 있으며 P-Static 이라고 부른다. 나. 조종.. 2017.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