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191

속도의 정의 - V1 : T/O decision speed, Go/No Go Speed, Critical failure Speed • 인지시 A/C를 정지하거나 혹은 계획된 이륙거리 내에서 35‘까지 계속 이륙 가능- VR : Rotation Speed = 1.1 × VMU • 활주로 상공 35ft 도착 또는 V2를 얻기 위해 Nose Up하는 속도- VMU : Minimum Unstick Speed • 부양할 때 Minimum 속도- V2 : T/O Safety Speed = 1.2 VSO (2 Eng) / 1.3 VSO (3 Eng) • Single Engine으로 상승 가능한 속도 • One Engine Fail시 활주로 상공 35‘에서의 최소 상승속도- VA : Maneuvering Speed • 항공기 구조.. 2017. 6. 1.
■ V-Speed & Color Code 1. White : Flap Operating Range (VSO ~ VFE) ⓵ VSO : Landing configuration stall speed ⓶ VFE : Maximum speed with flaps extended 2. Green : Normal Operating Range (VS1 ~ VNO) ⓵ VS1 : Specific configuration stall speed ⓶ VNO : Maximum structural cruising speed 3. Yellow : Caution Range (VNO ~ VNE) 4. Red radial line : Never exceed speed (VNE) 5. Blue radial line : Best single-engine rate of climb .. 2017. 6. 1.
속도의 분류 (동압 = 전압 - 정압), ICETG/장압밀바 구분내용IAS (지시속도) Indicated Air Speed- 지시계기 속도 (공기의 직접적인 흐름속도)- 전압과 정압의 차, 온도/고도와 무관함- 항공기 성능 결정에 사용, 이/착륙시 사용 가능- Stall Speed 산출의 기준, AOA와 관계CAS (수정 속도)Calibrated Air Speed- IAS + 장착오차 + 계기(정압) 오차 수정EAS (대등 속도)Equivalent Air Speed- CAS + 압축오차 수정- SL(표준대기 상태)에서 CAS = EAS- 고속기의 경우 Pitot 앞에서 공기의 압축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 200kts 이상이면 “-”하여 계산 (계산판 “F” Factor 이용)- FL200, 200kts 이하에서는 무시됨- 항공기 강도에 대한 Warning 제공 :.. 2017.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