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의 종류 | 내 용 |
절대 고도 (Absolute Altitude) → AGL Altitude | • 지구표면 위의 항공기 실제 높이 (지표면으로부터의 고도) • QFE : 이륙시 고도계 “0” set시 지시하는 고도 - 비행장표고 위의 높이로서 접지시 “0” 지시 (동일 공항 이/착륙, 단시간 비행시 적용) • VFR 비행시 AGL 고도는 언제 사용하는가? - 3000‘ 이하 비행시 |
진고도/실제고도 (True Altitude) → MSL Altitude | • 평균해수면(MSL)으로부터의 실제고도 (해발고도, 해면고도) - 해수면 위 항공기의 수직거리 • QNH → Local Altimeter Setting 시 지시 고도 - FE와 고도계 오차를 FT로 기억 - 고도계를 FE로 맞추고 그 후의 모든 ALT Setting시 지시기압 차이를 적용 (최대 허용오차 : 75) → ICM에서는 ALT 차이를 수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음 (29.92시 FE과 30‘ 차이나면 29.92로 수정하고 다른 기압치도 모두 0.03 수정함) • 계기비행 Chart에 표시된 공항, 관제탑, 장애물 등의 실제 고도 |
기압/압력 고도 (Pressure Altitude) | • 표준대기 상태의 해면(Sea Level)으로부터의 고도 → 표준기지면 (Standard datum plane) 위의 높이 • QNE → 29.92 set시 지시 고도, 기압고도 지시 • 평균 기압고도의 정의 : 29.92 set시 고도와 현재 기압치를 set 했을 때 지시하는 고도의 평균고도 • Flight Level에 적용 |
계기 고도 (Calibrated Altitude) | • 기압체감율을 표준으로 가정한 고도 → Altimeter Set하고 계기오차를 수정한 고도 |
밀도 고도 (Density Altitude) | • 비표준 온도를 위해 온도를 수정한 고도 • 표준대기에서 결정된 공기밀도에 상당하는 고도로써 해면고도가 아님 • 온도와 상관관계가 밀접 (기압/압력고도에 온도 수정) • 항공기의 참조고도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 항공기 이/착륙 DATA에 활용 (밀도고도가 높으면 이/착륙거리가 증가) • 항공기 성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이론적 수치로서 DATA의 기준 • 고온/고습/고고도 (3H : Hot, Humidity, High)시 항공기 성능 감소 → 공기밀도는 감소, 밀도고도는 높아짐 → 출력(추력) 감 소, 이착륙거리 증가 - 공기밀도는 고도에 따라 감소, 밀도고도는 증가 - 여름이 겨울보다 밀도가 낮아짐, 밀도고도는 여름이 높다. - 습도 높으면 밀도가 떨어짐, 밀도고도는 높음 |
※ Pressure ALT와 Density ALT 비교
- Pressure ALT는 표준대기의 지상기압 29.92에 맞추는 고도
- Density ALT는 Pressure ALT에 온도와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현재의 대기가 표준대기 의 어느 고도에 상당하는가를 나타내는 이론적 고도로서 항공기 성능 파악과 계산을 하기 위해 필요하다.
※ Radio Altimeter / Radar Altimeter
- 지면위로부터의 항공기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지상으로부터의 Radio파의 반사를 이용하는 항공기 장비 (절대고도 = QFE)
※ 고도와 기압/온도와의 관계
고기압 → 저기압, 고온 → 저온 지역으로 비행시 계기고도는 실제고도보다 높게 지시하므로 위험 (진고도는 계기상 지시고도보다 낮다)
※ 공기밀도 감소가 항공기 이/착륙에 미치는 영향
- 부양 및 착륙속도 증가
- 이/착륙 활주거리 증가
- 상승률 감소
- 가속도와 출력 감소
- 항공기 양력 감소
- 프로펠러 효율성 저하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대기 (0) | 2017.06.01 |
---|---|
JET 엔진의 추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0) | 2017.06.01 |
속도의 정의 (2) | 2017.06.01 |
■ V-Speed & Color Code (0) | 2017.06.01 |
속도의 분류 (동압 = 전압 - 정압), ICETG/장압밀바 (2) | 2017.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