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

속도의 정의

by 하늘이_ 2017. 6. 1.

- V1 : T/O decision speed, Go/No Go Speed, Critical failure Speed

• 인지시 A/C를 정지하거나 혹은 계획된 이륙거리 내에서 35‘까지 계속 이륙 가능

- VR : Rotation Speed = 1.1 × VMU

• 활주로 상공 35ft 도착 또는 V2를 얻기 위해 Nose Up하는 속도

- VMU : Minimum Unstick Speed

• 부양할 때 Minimum 속도

- V2 : T/O Safety Speed = 1.2 VSO (2 Eng) / 1.3 VSO (3 Eng)

• Single Engine으로 상승 가능한 속도

• One Engine Fail시 활주로 상공 35‘에서의 최소 상승속도

- VA : Maneuvering Speed

• 항공기 구조적 손상없이 최대/급격한 조작으로 안전하게 기동할 수 있는 최대 속도

항공기에 지나친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항공역학적 조타성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최대속도

중량과 비례. 이 속도 이하에서는 Over 'G'를 걸 수 없음

→ 이 속도 이전에서 load factor 증가시 구조적 손상없이 실속 발생

• 뇌우 통과시 VA 속도 이하 유지

- VC : Maximum Cruising Speed (최대 순항 속도)

- VMC (VMCA) : Minimum Control Speed (in the Air)

• Critical Engine이 부작동시 최저 조종 속도 (Pitch ±10°, Bank ±5° 조종가능)

• 5° 이내 Bank, T/O PWR, Most Rear CG

• T/O PWR Set하여 이륙직후 One Eng. Fail시 R/D와 5° bank로 일정한 H/D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저속도

※ VMC 작아지는 조건 : 고도가 높아질수록, 항공기 중량 감소, CG 전방 이동

- VMCG : Minimum Control Speed On the Ground

• Brake 사용 없이 Rudder, Aileron을 사용하여 좌우 25ft 이내에서 방향조정 (Directional Control)이 가능한 최소속도 (이륙시 R/D 사용 속도임)

- VMBE : Maximum Brake Energy Speed (VMBE)

• 제동능력 내에서 A/C를 접지시킬 수 있는 최대속도

- VSO : 착륙외장에서의 Stall Speed or 최소 비행 유지 속도

• T/O Speed : 1.2 VSO, L/D Speed : 1.3 VSO

- VS1 : 특정 형태에서의 Stall Speed or 최소 비행 유지 속도

- VREF : L/G, W/F Full Down 상태의 착륙 접근 속도

• Final Speed : VREF + 10KTS

- VX : Best Angle of Climb Speed (최적 상승각 속도)

• 최단거리에서 최대 고도 상승, 장애물 회피시 사용

• 고도 상승시 Vx 증가

- VY : Best Rate of Climb Speed (최적 상승률 속도)

• 최단시간 내 최대 고도 상승

• 고도 상승시 Vy 감소

- VYSE : Best Rate of Climb Speed on Single Engine

• 이륙 중 S/E시 최단시간 내 안전고도까지 상승할 수 있는 속도. Blue Dot로 표시

- Vat : Approach Speed. 1.3 VSO

- VFE : Maximum Flap Extend Speed

- VLE : Maximum L/G Extend Speed

- VLO : Maximum L/G Operation Speed

- VMO/VMMO : Maximum Operation Limit Speed (최대운용 한계 속도)

- VNO : Maximum Structure Cruising Speed

• VC나 0.87 VNE를 초과 금지 또는 접근 최대 속도

- VNE : Never Exceed Speed

• 초과금지 or 접근 최대 속도

• 0.9 VD or VDF (설계제한속도의 90%)

VNE 이상으로 기동 시 설계하중 제한치를 쉽게 초과할 수 있기 때문에 비행면의 떨림, 기체 구조적 손상, 파괴가 유발될 수 있다.

※ VD : Design Diving Speed, VDF : Demonstrated Flight Diving Speed

- Terminal Velocity (종극 속도)

• 항력과 무게의 관계로 급강하시 속도가 증가하여 최종에는 일정 속도에 근접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최대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