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로 내에서의 선회
⓵ FLY-BY Waypoint : 다음 비행구간에서 Overshoot를 방지하기 위해 예상하여 선회
(Lead P'T를 잡고 선회)
※ Turn Anticipation : A/C를 지정된 항로나 경로 경계선 안에 있도록 하기 위해 실제의 공역 Fix나 선회지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시작하는 선회기동
⓶ FLY-OVER Waypoint : Waypoint 상공까지는 어떠한 선회도 할 수 없고, 그 상공을 지난 후 다음 비행구간으로 진입 실시
2. 항법시설 상공 통과
⓵ VOR 상공 : ‘TO/FROM' Indicator가 처음 완전히 바뀌었을 때의 시간
⓶ ADF 상공 : ADF 지시침이 완전히 반대로 지시했을 때의 시간
⓷ Marker 상공 : 맨 처음 받은 신호 ~ 신호 끝났을 때 시간의 평균시간
3. PPR (▶ : Prior Permission Required)
항로비행시 화살표 방향으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ATC로부터 미리 사전허가를 받아야 한다.
4. ARC관련 L.P 설정 공식
⓵ Radial → ARC : 분당거리 - 2
⓶ ARC → Radial : 60 / ARC (분당거리-2)
5. 필수보고사항 (ATC/FSS)
⓵ 항상 보고해야 할 사항
- 비행계획서에 기록된 속도보다 5% 또는 10KTS까지 변화될 때 (Speed)
→ 지정된 속도 유지 : 지정된 IAS ±10KTS 또는 ±.02M
관제사
: 감속과 증속을 번갈아 가며 하는 속도조절 회피
: IAS, M로 속도조절을 지정하거나 또는 10KTS 단위 속도조절 지시
- MISS APP 절차를 수행할 때 (Missed)
- 지정받은 대기 FIX 또는 대기지점을 떠날 때 (Assigned)
- 새롭게 지정받은 고도 또는 고도 층으로 비행하기 위해 전에 지정한 고도 또는 고도 층을 떠날 때
- VFR-ON-TOP 비행인가로 비행한다면 고도 층을 변경할 때
- 분당 최소 500FT의 율로 상승/강하를 할 수 없을 때 (Rate of Climb & Descend)
- 대기 FIX 혹은 인가된 위치에 도착한 시간과 고도 혹은 고도층 (Time and altitude)
- VOR, TACAN, ADF, 저주파 항행수신장치의 관제공역 내에서 능력상실, 전부 또는 부분적 으로 ILS의 수신능력 상실 또는 공대지통신의 손상보고 (Communication & Nav. failure)
⓶ RDR 관제하에 있지 않을 때 보고사항
- 전에 보고한 예정시간이 (ETA) 3분 이상 차이가 날 때 (Revised ETA)
- FAF 나 OUTER MARKER를 떠날 때 (Outer Marker or FAF)
⓷ 예보되지 않은 기상에 조우하거나 예보한 위험한 기상상태에 조우할 때 (Weather)
⓸ Necessary Reporting Point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C (TWR En-Route Control / 관제탑 항로 관제) (0) | 2017.07.21 |
---|---|
속도 조절 : 항공교통관제절차 제7절 (0) | 2017.07.21 |
COP (Change Over Point) (0) | 2017.07.21 |
IFR 고도 (0) | 2017.07.21 |
Transition Level / Altitude / Layer (0) | 2017.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