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ECI (A Nonroutine Aviation Weather Reports)
정시관측 사이에 지상풍, 시정, 활주로 가시거리, 현재일기 또는 구름에 관한 특정 기준값 이상의 변화가 있을 때 실시하는 관측
(단, 인천공항은 30분마다 측정하므로 생략)
• ICAO Station Identifier : RKSI/ICN, RKPK/PUS, RKSS/GMP, RKPC/CJU
• 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 Z) : KST = UTC + 9
- 만국공동시. 영국 그리니치 시간을 ‘0’시로 규정
• Wind (direction/speed)
- 풍향 : True North
- 풍속 : 정시 전 10분간 평균 값, AUTO : 2분 평균값
- Gust : 변동이 평균풍속과 Peak가 10kt 이상일 때만 통보 (최대 풍속만 표시)
- “V" : 풍향이 60도 이상 180도 미만 변화하고 평균풍속이 3 kt 이상일 때
- “VRB" : 풍향이 60도 이상 180도 미만 변화하고 평균풍속이 3 kt 미만일 때 /
풍향변동이 180도 이상이고 평균풍향의 관측이 불가능한 경우
- Calm : 00000 (풍속 1 kt 미만)
ex) 100 kts 이상일 때 ‘P' 사용 → 140P99KT (US: 3자리 - 122KT)
• Visibility
- 우시정
비행장 지표의 절반 또는 지평원의 절반 이상의 범위에 걸쳐 낮거나 높게 나타나는 시정값
- '9999' : 시정이 10km 이상인 경우 (US: P6SM)
- 관제탑의 관측결과가 4SM보다 작을 때 METAR 또는 TOWER 시정 중 작은 것이 우시정이 됨
• RVR (Runway Visual Range) : 활주로 가시거리
항공기 조종사가 활주로 중심방향으로 진입하여 ‘Touchdown Zone'에 들어선 순간, 활주로 표면표시(Runway Surface Marking)나 활주로등(Runway Lights) 또는 활주로중심선(Runway Center Line) 등을 식별할 수 있는 최대사면거리(Slant Visual Range : SVR)의 수평방향성분
- 50M ≤ RVR ≤ 1500M (ICAO 기준) / (US: 600ft ≤ RVR ≤ 6000ft)
→ 이하시 “BLW 50M", 이상시 ”ABV 1500M"로 보고
- 최단시정이 1500m 미만이거나, 우세시정의 50% 미만이고 5000m 미만일 때 우세시정과 최단시정을 모두 보고 (ex. 2000 1200NW - 가능하다면 최단시정 8방위 표기.)
- 상태 : P = 초과, M = 미만
- 변화경향 :
D(-) : Down, U(+) : Up, N : No change, V : Variable
※ (참고)
The runway visual range (RVR) is an instrument-derived value representing the horizontal distance a pilot may see down the runway.
※ RVR Conversion
RVR (feet) | Visibility (SM) | |
1,600 | 1/4 | 2/8 |
2,400 | 1/2 | 4/8 |
3,200 | 5/8 | 5/8 |
4,000 | 3/4 | 6/8 |
4,500 | 7/8 | 7/8 |
5,000 | 1 | 8/8 |
6,000 | 1-1/4 | 10/8 |
→ Use visibility at time of departure to determine compliance with takeoff minimums.
• Weather
- FG : VIS 1000M 미만, 상대습도 100%에 가까움
- BR : VIS 1000 ~ 5000M, 상대습도가 80% 이상
※ (참고) : FG/BR의 상대습도는 75% 이상이며, HZ의 상대습도 75% 이하
- VC : Vicinity of Airport (within 16KM), (US : 5-10SM)
- DSNT : Distant (10-30SM)
- 인접
인접이란 공항기준위치로부터 약 8~16km 사이를 뜻하며 METAR 및 SPECI 보고에서만 사용할 수 있음
② 상태
- 얇은(Shallow) → MI : 수평 시정이 1000 m 이상이지만, 지면으로부터 2m(관측자의 눈높이)까지 1000 m 미만인 시정 층이 있는 안개(FG)를 나타낼 때만 사용
- 산재한(Patches) → BC : 공항에 안개가 산재하고 있음을 표시할 때만 사용
- 부분적(Partial) → PR : 공항의 상당한 부분에 안개가 덮여있는 반면 나머지 부분은 안개가 없음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수식어 "PR"은 안개(FG)에만 사용
- 높게 날림(Blowing) → BL / 낮게 날림(Low drifting) → DR : 먼지(DU), 모래(SA),
눈(SN), 기준 : 지상위로부터 2m 이상 / 미만
- 소낙성(Shower) → SH : 보통 대류운에서 오는 단시간의 강한 강수
- 뇌전(thunderstorm) → TS : 번개와 천둥을 동반하는 급격한 방전현상
- 어는(Freezing) → FZ : 안개(FG), 이슬비(DZ) 그리고 비(RA)에만 사용
⓷ 강수
- 우박(Hail) → GR
- 작은 우박/또는 눈싸라기(Small Hail and/or snow pellets) → GS
⓸ 장애
- 차폐(대기물현상) : FG, BR
- 차폐(대기먼지현상) : SA, DU, HZ, FU, VA, 황사
→ SA, DU, HZ, FU : 대기먼지현상에 의해 시정이 5000 m 이하일 때만 사용되어야 함
→ "DRSA" 및 “VA”는 5000 m 초과 시 사용가능
- 황사
- 연무(Haze) → HZ : 지극히 미세하고 건조한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
⑤ 기타
- 먼지/모래 회오리(Dust/Sand whirls) → PO
- 스콜(Squall) → SQ : 갑자기 솟아오르는 강한 바람
- 깔때기 구름(토네이도 또는 용오름)〔Funnel cloud(tornado or waterspout)〕 → FC
→ 지상에서 발달한 깔때기 구름을 토네이도라 칭하며 수면 위에서 발달한 것을 용오름
• Sky Condition
- SKC or CLR
→ SKC : Human generated report
→ CLR : Automated report, No clouds below 12,000ft
- Height : 100 Feet 단위, Cloud Base (AGL)
• CAVOK (Ceiling And Visibility OK)
- 시정 10 ㎞ 이상
- 운항 상 중요한 구름이 없을 때
- 강수, 대기물 •먼지현상, 뇌전 등의 중요일기가 없을 때
- Visibility : more than 10KM
- No Cloud below 5000ft, No CB
- NSW(Nil Significant Weather) : 강수현상이나 악기상이 없는 경우
• NSC : Nil Significant Cloud
- 적란운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5000ft(1500m)나 가장 높은 최저구역고도(MSA) 중 높은 쪽 고도 아래에 구름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CAVOK"의 사용이 적절하지 않을 때 (☞ 시정이 10km 미만일 때)
• NOSIG : No significant change
- 중요한 일기변화가 없을 때
• VV : Vertical Visibility
- 관측지점에서 강수 또는 안개와 같은 시정장애 현상으로 하늘이 차폐되어 구름의 운량이나 운저고도를 관측할 수 없는 경우
• Temperature/Dew Point
차이가 3℃ 이하일 경우 대기가 포화상태이므로 안개나 악기상이 예상되는 경우가 빈번함
- ℃ × 9/5 + 32 = ℉
• 변화 지시군
- FM (from) / TL (till) / AT (at)
• RMK (FAA)
- A01 : Automated stations without a precipitation discriminator.
- A02 : Automated stations with a precipitation discriminator.
- Beginning and Ending of Precipitation
ex) RAESNB42 : Rain ended Snow began 42min. past the hour
- Overhead → OHD
3.2.1 특별관측기준 (Criteria of special observations)
가. 특별관측보고(SPECI)는 다음기준에 따라 변화할 때마다 발표해야만 한다.
(단, 인천공항의 경우 30분 간격으로 정시관측을 실시하므로 특별관측보고를 생략한다.)
1) 평균풍향이 가장 최근에 보고한 풍향보다 60 ° 이상 변화하고, 변화전과/또는 후의 평균풍속이 10 kt ( 5 m/s) 이상일 때
2) 평균풍속이 가장 최근에 보고한 평균풍속으로부터 10 kt (5 m/s) 이상 변화할 때
3) 평균풍속의 변동(gust)이 최종보고에 주어진 값보다 10 kt ( 5m/s)이상 변화 하고 전과 또는 후의 평균풍속이 15 kt (7.7 m/s)이상 일 때
4) 시정이 호전되면서 다음 기준치 중 하나이상의 값과 같아지거나 경과 할 때 또는 악화되면서 기준치 중 하나이상의 값을 경과 할 때
- 기준치(m) : 800, 1500, 3000 또는 5000
5) 활주로가시거리가 호전되면서 다음 기준치 중 하나이상의 값과 같아지거나 경과할 때 또는 악화되면서 기준치 중 하나이상의 값을 경과 할 때
- 기준치(m) : 50, 175, 300, 550 또는 800
6) 다음의 기상현상이 시작, 종료 또는 강도의 변화가 발생할 때
- 어는 강수 : FZRA
- 보통 또는 강한 강수(소나기 포함) : RA, SHRA, +RA, +SHRA
- 뇌전(강수 유) : TS(강수 유)
- 먼지폭풍 : DS
- 모래폭풍 : SS
- 깔때기구름(토네이도 또는 용오름) : FC
7) 다음의 기상현상이 시작 또는 종료될 때
- 어는 안개 : FZFG
- 낮게 날린 먼지, 모래 또는 눈 : DRDU, DRSA, DRSN
- 높게 날린 먼지, 모래 또는 눈 : BLDU, BLSA, BLSN
- 뇌전(강수 무) : TS(강수 무)
- 스콜 : SQ
8) BKN 또는 OVC 이상의 최하층의 운저 높이가 상승하면서 다음 기준치 중 하나이상의 값과 같아지거나 경과 할 때 또는 하강하면서 다음 기준치 중 하나이상의 값을 경과 할 때
- 기준치(ft/m) : 100/30, 200/60, 500/150, 1000/300, 1500/450
9) 1500 ft (450 m) 미만의 높이에 있는 운량이 다음과 같이 변할 때
- SCT이하 에서 BKN 또는 OVC로 변화
- BKN 또는 OVC에서 SCT이하로 변화
10) 하늘이 차폐되었을 때 수직시정이 호전되면서 다음 기준치 중 하나이상의 값과 같아지거나 경과 할 때 또는 악화되면서 기준치중 하나이상의 값을 경과 할 때
- 기준치(ft/m) : 100/30, 200/60, 500/150 또는 1000/300
3.1.2 정시관측의 통보 (Routine observations reports)
가. 정시관측보고(METAR)
당해 공항 내외로 전파되어야 하며, 주로 운항계획, VOLMET방송 및 D-VOLMET을 위해 사용된다.
나. 국지정시관측보고(MET REPORT)
당해 공항에만 전파되어야 하며, 주로 이 •착륙 항공기를 위해 사용된다.
'항공사 면접 및 지식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REP (Pilot Weather Reports) (0) | 2017.07.16 |
---|---|
TAF (Terminal Aerodrome Forecast) (0) | 2017.07.16 |
Wind Shear (0) | 2017.07.16 |
착륙성능제한 (Landing Limitations) ; 운항기술기준 8.4.5.8 (0) | 2017.07.14 |
신호 : 항공법 시행규칙 제190조의3, 별표 29 (0) | 2017.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