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종사 관련

QNH, QNE, QFE (항공에서의 기압수치 3가지)

by 하늘이_ 2017. 3. 14.

항공기의 고도계(Altimeter)는 외부기압을 측정해서 

현재의 고도를 알려주는 장치입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죠.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문제가 생깁니다.

지상에서의 기압수치에 따라서 상공의 높은 지점에서의 기압도 달라진다는 거죠.

그러므로 지상에서의 기압수치를 알아내서

고도계에 정확히 입력해야겠죠?

(수치는 공항이나 관제사가 알려줍니다)



실제 항공기에서 고도계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왼쪽 아래의 노브(둥근 손잡이 모양)를 돌리면 

현재의 기압치를 셋팅할 수 있습니다.

기압수치는 고도계 오른쪽 부분에 화살표로 표시되어있죠?



아날로그 계기에서 발전된, 디지털인 항공기의 고도계는 위와 같이 생겼습니다.

오른쪽 아래를 보면 잘 보이지는 않지만 

QNH 30.02 (inHg)로 기압셋팅이 되어있는 것이 보이시죠?


중요한 기압셋팅(Altimeter Setting)은 QNH, QNE, QFE 이렇게 세가지로 분류된답니다.


1. QNH

QNH란 현지공항 기압을 해수면 높이에서의 기압으로 변환해준 수치입니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에 흔히 사용되며,

Q는 Q-CODE, NH는 Nautical Height를 의미합니다.


2. QNE

QNE란 해당 지역의 기압치와는 상관없이 

무조건 표준기압치인 29.92inHg (1013.2mb)를 고도계에 셋팅하는 것입니다.

전이고도(Transition Altitude) 이상에서 비행할때는

반드시 이 QNE를 고도계에 셋팅하게 됩니다.

(참고 : 한국과 일본의 경우 전이고도는 14,000ft, 미국은 18,000ft입니다)


3. QFE

QFE의 FE는 Field Elevation(지면의 높이)을 의미합니다.

즉, 해수면 높이기준에서의 기압치가 아니라 

실제 공항표고에서의 기압치를 의미하는 것이죠.




오늘도 항공지식을 쌓는데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하트)"을 눌러주세요.



참고문헌 : 조종사교과서1 p145

            Pilot's Handbook of Aeronautical Knowledge p7-3

            ICM(Instrument Commercial) p2-18~20